도담방/불가의 도담방

불씨잡변 [佛氏雜辨]

▪살림문화재단▪ 2012. 5. 26. 00:46

 

 

불씨잡변에 대한 객관적 소개를 위해 개인 의견을 배제하고
네이버 백과사전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인용합니다.-펌-
 

불씨잡변 [佛氏雜辨]


요약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학자 정도전(鄭道傳)이 유학(儒學)의 입장에서 불교의 진리를 변파(辨破)한 책.
구분목판본
저자정도전(鄭道傳)
시대1394(조선 태조 3)


본문
목판본. 1권 1책. 1394년(태조 3) 저술. 내용은 변파가 15항목, 불교가 중국과 조선에 들어온 이후의 사실 4편으로 엮었다. 변파한 것은 불씨윤회설(佛氏輪廻說), 인과설(因果說), 심성변(心性辨), 불씨의 작용(作用)이 성(性)이라고 한 것에 대한 변파, 불씨심적(佛氏心跡)의 변, 불씨는 도(道)와 기(器)에 혼매(昏昧)하다는 변, 불씨의 자비(慈悲)에 대하여, 불씨의 진가(眞假)에 대하여, 지옥설에 대하여, 화복(禍福)에 대하여, 불도의 걸식(乞食)에 대하여, 선교(禪敎)에 대하여, 유교와 불교의 같고 다른 점에 대하여 변파한 다음, 불법이 중국에 들어와 불(佛)을 섬기다가 화를 입은 실례와 천도(天道)를 버리고 불과(佛果)를 이야기하는 모순 등을 들고 있다. 끝으로 불교는 이단(異端)이므로, 배척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배불(排佛)의 정당성을 역설하였다.
그 후 권근(權近)이 이를 찬양한 서문을 실었다. 당시는 고려의 멸망과 함께 불교가 타락하고 새로 유교가 대두될 때였으므로, 이러한 대논문은 조선시대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의 계기가 되었다. 책머리에 권근과 신숙주(申叔舟)의 서문이 있고, 정도전의 증손인 문형(文炯)의 발문이 있다.


삼봉집 제5권
정  도 전(鄭道傳) 저
불씨 잡변 佛氏雜辨


차   례
불씨 윤회의 변 佛氏輪廻之辨
불씨 인과의 변 佛氏因果之辨
불씨 심성의 변 佛氏心性之辨
불씨 작용이 성이라는 변 佛氏作用是性之辨
불씨 심적의 변 佛氏心跡之辨
불씨가 도와 기에 어두운 데 관한 변 佛氏昧於道器之辨
불씨가 인륜을 버림에 관한 변 佛氏毁棄人倫之辨
불씨 자비의 변 佛氏慈悲之辨
불씨 진가의 변 佛氏眞假之辨
불씨 지옥의 변 佛氏地獄之辨
불씨 화복의 변 佛氏禍福之辨
불씨 걸식의 변 佛氏乞食之辨
불씨 선교의 변 佛氏禪敎之辨
유가와 불가와의 같고 다른 변 儒釋同異之辨
불법이 중국에 들어 옴 佛法入中國
불씨를 섬겨 화를 얻음 事佛得禮
천도를 버리고 불과를 말함 舍天道而談佛果
부처 섬기기를 극진히 할수록 연대는 더욱 단축되었다 事佛甚謹年代犬促
이단을 물리치는 데 관한 변 闢異端之辨


 

[佛氏雜辨]


불씨잡변[佛氏雜辨]-01 불씨 윤회의 변 佛氏輪廻之辨


사람과 만물이 생생(生生)하여 무궁한 것은 바로 천지의 조화(造化)가 운행(運行)하여 쉬지 않기 때문이다.
대저 태극(太極)이 동(動)하고 정(靜)함에 음(陰)과 양(陽)이 생기고, 음양(陰陽)이 변(變)하고 합(合)함에 오행(五行)이 갖추어졌다. 이에 무극(無極)?태극(太極)의 진(眞)과 음양 오행의 정(精)이 미묘(微妙)하게 합하여 엉겨서〔凝 형기가 이루어짐.〕사람과 만물이 생생한다. 이렇게 하여 이미 생겨난 것은 가면서 과거〔過〕가 되고 아직 나지 않은 것은 와서 계속〔續〕하나니, 이 과(過)와 속(續) 사이에는 한 순간의 정지도 용납되지 아니한다.


부처의 말에,
“사람은 죽어도 정신은 멸하지 않으므로 태어남에 따라 다시 형체를 받는다.”
하였으니, 이에 윤회설이 생겼다.
「주역」(周易 계사상 繫辭上)에,
“시(始)에 원(原)하여 종(終)에 반(反)한다. 그러므로 그 생사(生死)의 설을 알 수 있다.”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정기(精氣)는 물(物)이 되고 유혼(遊魂)은 변(變)이 된다.”
하였다. 선유(先儒)는 이 글을 해석하여 말하기를,


“천지의 조화가 비록 생생하여 다함이 없으나, 그러나 모임〔聚〕이 있으면 반드시 흩어짐〔散〕이 있으며, 태어남〔生〕이 있으면 반드시 죽음〔死〕이 있다. 능히 그 시(始)에 원(原)하여 그 모여서 태어남을 안다면 그 후에 반드시 흩어져 죽는 것을 알 것이며, 태어난다는 것이 바로 기화(氣化)하는 날에 얻어진 것이요, 원래부터 정신이 태허(太虛)한 가운데에 머물러 사는 것이 아님을 안다면, 죽음이란 것은 기(氣)와 더불어 함께 흩어져 다시 형상이 아득하고 광막한〔漠〕속에 남는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정기는 물이 되고 유혼은 변이 된다.”
하였는데, 이는 천지 음양의 기가 교합(交合)하여 바로 사람과 만물을 이루었다가, 혼기(魂氣)는 하늘로 올라가고, 체백(體魄)은 땅으로 돌아가는데 이르러서는, 바로 변이 되는 것이다. 정기가 물이 된다는 것은 정과 기가 합하여 물이 되는 것이니, 정은 백(魄)이요, 기는 혼(魂)인 것이며, 유혼(遊魂)은 변이 된다는 것은, 변이란 바로 혼과 백이 서로 떨어져 유산(遊散)하여 변하는 것이니, 여기서 말하는 변이란 변화의 그 변이 아니라 이 변은 단단한 것이 썩음이요, 있던 것이 없어져 다시는 물(物)이 없어지는 것이다.


하늘과 땅 사이는 홍로(烘爐)와 같아, 비록 생물이라 할지라도 모두 다 녹아 없어진다. 어찌 이미 흩어진 것이 다시 합하여지며, 이미 간 것이 다시 올 수 있으랴?


이제 또한 내 몸에 징험(徵驗)하여 본다면, 숨 한 번 내쉬고 들이쉬는 사이에 기가 한 번 들어갔다 나오나니, 이것을 일식(一息)이라 한다. 여기서 숨을 내쉴 때 한 번 나와 버린 기가 숨을 들이쉴 때 다시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그런즉 사람의 기식(氣息)에서도 또한 생생(生生)하여 무궁함과, 가는 것은 지나가고〔過〕오는 것은 계속〔續〕되는 이치를 볼 수가 있다. 또 밖으로 물(物)에 징험(徵驗)하여 본다면, 모든 초목이 뿌리로부터 줄기와, 가지와, 잎에, 그리고 꽃과 열매에 이르기까지 한 기운이 관통하여, 본?여름철에는 그 기운이 불어나 잎과 꽃이 무성하게 되고, 가을?겨울철에는 그 기운이 오그라들어 잎과 꽃이 쇠하여 떨어졌다가, 이듬해 봄?여름에는 또 다시 무성하게 되는 것이나, 그러나 이미 떨어져 버린 잎이 본원(本源)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또 우물 속의 물을 보라. 아침마다 길어낸 물은 음식을 만드는 사람이 불로 끓여 없애고, 옷을 세탁하는 사람이 햇볕에 말려 없애니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리지만, 그러나 우물의 샘줄기에서는 계속하여 물이 솟아 다함이 없으니, 이 때 이미 길어간 물이 그 전에 있던 곳으로 돌아가 다시 나오는 것은 아니다.


백곡(百穀)의 자라남도 마찬가지다. 봄에 10섬의 종자를 심었다가 가을에 1백 섬을 거두어들여 드디어는 1천 섬, 1만 섬에 이르나니 그 이익이 여러 배나 된다. 이것은 백곡도 또한 생생(生生)함이다.


이제 불씨(佛氏)의 윤회설을 살펴보자.
“혈기(血氣)가 있는 모든 것은 스스로 일정한 수(數)가 있어, 오고 오고 가고 가도 다시 더하거나 덜함이 없다.”
하는데, 그렇다면 하늘과 땅이 물(物)을 창조하는 것이 도리어 저 농부가 이익을 내는 것만 같지 못하다. 또 혈기의 등속이 인류로 태어나지 않으면 조수(鳥獸)?어별(魚鼈)?곤충(昆?)이 될 것이니, 그 수에 일정함이 있어 이것이 늘어나면 저것은 반드시 줄어들고, 이것이 줄어들면 저것은 반드시 늘어나며, 일시에 다 함께 늘어날 수도 없고, 일시에 다 함께 줄어들 수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살펴보건대, 왕성한 세상을 당하여서는 인류도 늘어나고 조수?어별?곤충도 함께 늘어나는가 하면, 쇠한 세상을 당하여서는 인류도 줄어들고 조수?어별?곤충도 또한 줄어든다. 이것은 사람과 만물이 모두 천지의 기(氣)로써 생기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기가 성하면 일시에 늘어나고 기가 쇠하면 일시에 줄어듦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나는 불씨의 윤회설이 너무나도 세상을 현혹하는 것에 분개하여, 깊게는 천지의 조화에 근본하고, 밝게는 사람과 만물의 생성(生成)에 징험하여 이와 같은 설을 얻었으니, 나와 뜻이 같은 사람은 함께 통찰하여 주기 바란다.


어떤 사람이 내게 묻기를,
“자네는 선유(先儒)의 설을 인용하여「주역」(周易)에 있는 ‘유혼(遊魂)은 변(變)이 된다.’는 말을 해석하여 말하기를 ‘혼(魂)과 백(魄)은 서로 떨어져 혼기(魂氣)는 하늘로 올라가고 체백(體魄)은 땅으로 내려간다.’하였으니, 이것은 사람이 죽으면 혼과 백이 각각 하늘과 땅으로 돌아간다는 말이니, 그것은 불씨(佛氏)가 말한 ‘사람은 죽어도 정신은 멸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냐?”


한다면 나는 대답하기를,
“옛날에 사시(四時 본?여름?가을?겨울)의 불은 모두 나무에서 취(取)하였으니 이것은 원래 나무 가운데에 불이 있으므로 나무를 뜨겁게 하면 불이 생기는 것이다. 그것은 원래 백(魄) 가운데에 혼이 있어 백을 따뜻이 하면 혼이 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나무를 비비면 불이 나온다.’는 말이 있고 또 ‘형(形)이 미시 생기면 신(神)이 지(知)를 발(發)한다.’는 말도 있다. 여기서 형(形)은 백(魄)이요, 신(神)은 혼(魂)이다. 불이 나무를 인연하여 존재하는 것은 혼과 백이 합하여 사는 것과 같다. 불이 다 꺼지면 연기는 하늘로 올라가고 재는 떨어져 땅으로 돌아가게 되나니, 이는 사람이 죽으면 혼기는 하늘로 올라가고 체백은 땅으로 내려가는 것과 같다. 불의 연기는 곧 사람의 혼기이며 불의 재는 곧 사람의 체백이다. 또 화기(火氣)가 꺼져 버리게 되면 연기와 재가 다시 합하여 불이 될 수 없는 것이니, 사람이 죽은 후에 혼기와 체백이 또다시 합하여 생물이 될 수 없다는 이치는 또한 명백하지 않은가?”
할 것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2 @     불씨 인과의 변 佛氏因果之辨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자네의 불씨의 윤회설에 대한 변증(辨證)은 지극하다마는, 자네의 말에, ‘사람과 만물이 모두 음양 오행의 기(氣)를 얻어서 태어났다.’고 했다. 그런데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 어리석은 사람, 어진 사람, 불초(不肖)한 사람, 가난한 사람, 부유한 사람, 귀한 사람, 천한 사람, 장수(長壽)하는 사람, 요절(夭絶)하는 사람 등이 같지 않으며, 동물의 경우에는 어떤 것은 사람에게 길들여져 실컷 부림을 받고 드디어는 죽음을 감수하기도 하고, 어떤 것은 그물이나 낚시나 주살〔?〕의 해(害)를 면치 못하기도 하고, 크고 작고 강하고 약한 것들이 저희끼리 서로 잡아먹기도 하니, 하늘이 만물을 냄에 있어 하나 하나 부여해 준 것이 어찌 이렇게도 치우쳐 고르지 못하단 말인가? 이렇게 보면 석씨(釋氏)의 이른바 ‘살아 있을 때 착한 일을 하였거나 악한 일을 한 것에 모두 보응(報應)이 있다.’는 것이 과연 그렇지 아니한가? 또 살아 있을 때 착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하는 것을 인(因)이라 하고, 다른 날에 보응을 받는 것을 과(果)라고 하였으니, 이 말 또한 근거있는 이야기가 아닌가?”
한다면, 나는 이에 대답하기를,


“사람과 만물의 생생(生生)하는 이치를 앞에서 자세히 논(論)하였으니, 이를 이해한다면 윤회설은 저절로 변명(辨明)될 것이요, 윤회설이 변명되면 인과설(因果說)은 변명하지 않아도 자명(自明)해진다. 그러나 이미 질문이 나왔으니 내 어찌 근본적으로 다시 말하지 않으랴? ‘저 이른바 음양오행이라고 하는 것은 엇바뀌어 운행되며, 서로 드나들어 가지런하지 않다.〔參差不齊〕그러므로 그 기(氣)의 통(通)함과 막힘〔塞〕, 치우침〔偏〕과 바름〔正〕, 맑음〔淸〕과 흐림〔濁〕, 두꺼움〔厚〕과 얇음〔薄〕, 높고 낮음, 길고 짧음의 차가 있다. 그리하여 사람과 만물이 생겨날 때에 마침 그 때를 만나 바름과 통함을 얻은 것은 사람이 되고, 치우치고 막힘을 얻는 것은 물(物)이 된다. 사람과 물의 귀하고 천함이 여기에서 나눠지는 것이다.


또 사람에게 있어서도 그 기(氣)의 맑은 것을 얻은 사람은 지혜롭고 어질며, 흐린 것을 얻은 사람은 어리석고 불초하며, 두꺼운 것을 얻은 사람은 부자가 되고, 엷은 것을 얻은 사람은 가난하고, 높은 것을 얻는 사람은 귀하게 되고, 낮은 것을 얻은 사람은 친하게 되고, 긴 것을 얻은 사람은 장수(長壽)하게 되고, 짧은 것을 얻는 사람은 요절(夭折)하게 되는 방법이니, 이것이 대략이다. 물(物)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기린?용?봉(鳳)의 신령함이나, 호랑(虎狼)?독사와 독(毒)함이나, 춘(椿)?계(桂)?지(芝)?란(蘭)의 상서로움이나, 오훼(烏喙 맛의 쓴 독약의 일종.)?씀바귀의 씀과 같은 것은 모두 치우치고 막힌 가운데에서도 선악(善惡)의 다름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모두가 어떤 의식〔意〕이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은 아니다.「주역」(周易 건괘(乾卦)에 보임)에 이르기를 ‘건(乾)의 도가 변화하여 각각 성명(性命)을 정(定)한다.’ 하였으며, 선유(先儒)가 말한 ‘천도(天道)가 무심(無心)히 만물 두루〔普〕덮는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오늘날의 의술(醫術)이나 점술(占術)은 조그마한 술수〔數〕이지만, 점치는 사람은 사람의 복(福)이나 화(禍)를 정하는데 반드시 오행(五行)의 쇠퇴하고 왕성함을 근본으로 추구한다.
‘이 사람은 목명(木命)이니 봄을 맞아서는 왕성하지만 가을을 맞으면 쇠퇴하여 그 용모는 푸르고 길며 그 마음씨는 자비롭고 어질다.’ 하고 ‘이 사람은 금명(金命)이므로 가을에는 길(吉)하나 여름에는 흉(凶)하며 그 용모는 희고 네모나며, 그 마음씨는 강(剛)하고 밝다.’고 말하기까지 한다. 때로는 수명(水命)을 때로는 화명(火命)을 말하여 해당시키지 않는 것이 없으니, 용모의 추(醜)함이나, 마음의 어리석고 사나움이 모두 오행의 품부(稟賦)가 치우침에 근거〔本〕한다고 한다.


또 의사가 사람의 병을 진찰할 때에도 반드시 오행이 서로 감응(感應)함에 근본을 추구(推究)한다. ‘아무개의 병은 한증〔寒〕이니 신수(腎水)의 증세’라 하고 ‘아무개의 병은 온증〔溫〕이니 심화(心火)의 증세’라 말하는데, 이것이 바로 그런 유(類)의 것이다. 따라서 약(藥)을 쓸 때에도 그 약 성질의 온(溫)?양(凉)?한(寒)?열(熱)과 그 맛의 산(酸)?함(?)?감(甘)?고(苦)를 음양 오해에 나누어 붙여서 조제(調劑)하면 부합되지 않는 것이 없다. 이는 우리 유가(儒家)의 설에 ‘사람과 만물은 음양 오행의 기를 얻어서 태어났다.’는 것이 명백히 증험되는 것이니 의심할 여지도 없는 것이다.


과연 불씨(佛氏)의 설과 같다면 사람의 화복과 질병이 음양 오행과는 관계없이 모두 인과(因果)의 보응(報應)에서 나오는 것이 되는데, 어찌하여 우리 유가의 음야 오행을 버리고 불씨(佛氏)의 인과 보응설을 가지고서 사람의 화복을 정하고 사람의 질병을 진료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느냐? 불씨의 설이 황당하고 오류(誤謬)에 가득차 족히 믿을 수 없음이 이와 같거늘, 그대는 아직도 그 설에 미혹되려는가?“
할 것이다.


이제 지극히 절실하고도 보기 쉬운 예를 들어 비유해 보자.
술이라 하는 것은 국(? 누룩)과 얼(蘖 엿기름을 넣어 만든 죽)의 많고 적음과, 항아리〔甕〕의 덜 구워지고 잘 구워짐과, 날씨의 차고 더움과 기간의 오래됨과 가까움이 서로 적당히 어울리면 그 맛이 매우 좋게 된다. 그러나 만일 얼(蘖)이 많으면 맛이 달고, 국(?)이 많으면 맛이 쓰고, 물이 많으면 맛이 싱겁다. 물과 국(?)과 얼(蘖)이 모두 적당하게 들어갔다 할지라도 항아리의 덜 구워짐?잘 구워짐에나, 또는 날씨의 차고 더움이나 기간의 오래됨과 가까움에 서로 어긋나 합해지지 않으면 술맛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그 맛의 좋고 나쁨에 따라 그 용도도 상(上)?하(下)로 다르게 되며, 지게미〔糟粕〕같은 것은 더러운 땅에 버려져 발길에 채이고 밟히게도 된다. 그런즉, 술의 그 맛있게 되고 맛없게 되는 것과, 상품도 되고 하품도 되는 것과, 쓰이기도 하고 버려지기도 하는 것, 이 모두가 다 일시적으로 마침 그렇게 되어서 그럴 뿐이니 술을 만드는 데에도 역시 인과의 보응이 있어서 그렇다고 하겠는가? 이 비유는 비록 비근(鄙近)한 것이기는 하지만 극히 명백하여 두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이른바 음양 오행의 기는 서로 밀고 엇바뀌어 운행되어서 서로 드나들어 가지런하지 않다. 그러므로 사람과 만물도 만번 변하여 태어나는 것이니, 그 이치가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


성인(聖人)은 가르침을 베풀어, 배우는 사람에게 기질(氣質)을 변화하여 성현(聖賢)에 이르게 하는가 하면, 나라를 사람에게 쇠망〔衰〕을 바꾸어 치안(治安)으로 나아가게도 하나니, 이는 성인이 음양의 기(氣)를 돌이켜 천지가 만물을 생성(生成)하는 공(功)에 참여하여 돕는 까닭이다. 어찌 불씨(佛氏)의 인과설이 그 가운데에 용납될 수 있을 것인가?

----------------------------

 

불씨잡변[佛氏雜辨]-3 불씨 심성의 변 佛氏心性之辨


마음이라는 것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어 가지고 태어난 기(氣)로서, 허령(虛靈)하여 어둡지 않아, 한 몸의 주인이 되는 것이요, 성(性)이란 것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어 가지고 태어난 이(理)로서 순수(純粹)하고 지극히 착하여 한 마음에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대개 마음은 지(知)와 위(爲)가 있으나 성(性)은 지도 위도 없다. 그러므로,
“마음은 능히 성(性)을 다할 수 있으나 성은 마음을 검속(檢束)할 줄을 알지 못한다.”
하고 또 말하기를,
“마음은 정(情)과 성(性)을 모두 통합한 것이다.”
는 말도 있고 또 말하기를,
“마음이라는 것은 신명(神明)의 집〔舍〕이요, 성(性)은 그 갖추어진 바의 이치〔理〕이다.”
라는 말도 있다.
이것으로 볼 때 마음과 성(性)의 분변(分辨)은 알 수 있다.
그런데 저 불씨(佛氏)는 마음을 가지고 성(性)이라고 하고서 그 설을 구하다가 되지 않으니까, 이윽고 말하기를,
“혼미〔迷〕하면 마음이요, 깨달으면〔悟〕성(性)이다.”
하고, 또 말하기를,
“마음과 성의 이름이 다른 것은 안(眼)과 목(目)의 명칭이 다른 것과 같다.”
하였다. 「능엄경」(楞嚴經)에 말하기를,
“원묘(圓妙)는 명심(明心)이요, 명묘(明妙)는 원성(圓性)이다.‘
【안】「능엄경」에 “너희들은 본묘(本妙)를 잃어 버렸도다. 원묘(圓妙)는 명심(明心)이요, 보명(寶明)은 묘성(妙性)이니라. 깨달음을 얻은 경지에서는 말이 필요하지 않으니, 마음은 묘로부터 명(明)을 일으키는지라, 그 원융(圓融)하게 비춤이 거울의 광명과 같으므로 ‘원묘는 명심’이라 하고, 성품은 그 자체가 곧 명(明)하며 묘(妙)한지라, 엉기어 고요하고도 맑음이 거울의 본체와 같으므로 ‘보명은 모성’이라 한다.”고 하였다.
하니, 이는 명(明)과 원(圓)을 나누어서 말한 것이다.


보조(普照)는 말하기를,
“마음 밖에 부처〔佛〕가 없으며 성(性) 밖에 법(法)이 없다.”
하였으니 이는 또한 불(佛)과 법(法)을 나누어 말한 것이다. 이는 통찰〔見〕한 바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나 모두가 방불(??)한 가운데 상상(想象)으로 얻은 것이요, 활연(豁然)히 진실 되게 본 것이 없어, 그 설에 헛된 말〔遊辭〕이 많아 일정한 논(論)이 없으니 그 실정을 알 수 있다.


우리 유가(儒家)의 설에 말하기를,
“마음을 다하면 성(性)을 안다.”
하였으니, 이것은 마음을 근본으로 하여 이치를 궁구(窮究)하는 것이다.
그런데 불씨(佛氏)의 설에서는 말하기를,
“마음을 관(觀)하면 성(性)을 보나니 마음이 곧 서이다.”
하였으니, 이것은 따로 한 마음을 가지고 이 한 마음을 본다는 것이니 어찌 마음이 둘이 있단 말인가?
저들도 스스로 그 설의 궁함을 알았는지라 이에 둔사(遁辭)를 하여 말하기를,
“마음으로 마음을 관(觀)하는 것은 입으로 입을 씹는 것과 같으니, 관하지 않는 것으로써 관해야 하느니라.”
하니, 이것은 또 무슨 소리인가?


또 우리 유가의 말에,
“한 가슴〔方寸〕의 사이가 허령(虛靈)하여 어둡지 않아 모든 이치〔衆理〕를 갖추어 만사에 응(應)한다.”
하였는데, 여기에서 ‘허령(虛靈)하여 어둡지 않다.’고 하는 것은 마음이요, ‘모든 이치를 갖추었다.’고 하는 것은 성(性)이요, ‘만사에 응한다.’고 하는 것은 정(情)이다. 오직 이 마음이 모든 이치를 갖추고 있으므로, 사물(事物)의 오는 것에 응(應)하여 각각 그 마땅함을 얻지 못함이 없는 것이니, 사물의 마땅하고 마땅치 않은 것을 처리함에 이어 모든 사물이 다 나의 명령을 듣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 유가(儒家)의 학이 안으로는 마음과 몸으로부터 밖으로는 사물에 이르기까지, 근원으로부터 말류(末流)에 이르기까지, 하나로 관통되어 원두(源頭 근원처 根源處)의 물이 만 갈래로 흘러도 물 아님이 없음과 같고, 눈금이 있는 저울을 가지고 천하의 만물의 경중을 저울질하면 그 물건의 경중이 저울대의 저울눈과 서로 맞는 것과 같다. 이것이 이른바 원래부터 간단(間斷)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불씨(佛氏)는 말하기를,
“공적(空寂)한 영지(靈知)는 연(緣)을 따라 변하지 않는다.”
【안】불씨는 말하기를, “진정(眞淨)한 마음이 연(緣)을 따라 변하는 것은 상(相)이고 변하지 않는 것은 성(性)이니, 마치 한 진금(眞金)이 크고 작은 그릇을 따르는 것은 곧 연(緣)을 따르는 상이고, 진금 그 자체가 변하지 않는 것은 곧 성(性)인 것과 같다.”하니, 말하자면 하나의 진정한 마음이 선악을 따라 더럽혀지거나 깨끗해지는 것은 곧 연(緣)을 따르는 상이고, 본래의 진정한 마음이 변하지 않는 것은 성(性)이라는 것이다.
하였다.


이른바 이(理)란 것이 그 가운데에 갖추어져 있지 않으므로, 사물을 대함에 막힌〔滯〕것은 끊어 버리고자 하고 트인〔達〕것은 따라 순종하고자 하는데, 그 끊어 버리고자 하는 것이 원래 잘못이거니와 따라 순종하고자 하는 것도 또한 잘못이다.
또 그의 말에,
“연(緣)을 따라 되는 대로 하고, 성(性)에 맡겨 자연스럽게 한다.”
하니, 이는 그 물(物)의 하는 대로를 따를 뿐이요, 다시 그 물에 대한 시비를 절제(節制)하여 처리함이 없는 것이다. 이것은 그 마음은 하늘 위의 달과 같고, 그 마음의 응함은 천강(千江)의 달 그림자와 같으니, 달은 참된 것이요, 그림자는 헛된 것이어서, 그 사이에 연속됨이 없는 것이며, 마치 눈금이 없는 저울을 가지고 천하의 만물을 저울질하는 것과 같아, 그 가볍고 무겁고, 내려가고 올라가는 것은 오직 물건에 따를 뿐, 자기가 행동하여 칭량(稱量)함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석씨(釋氏)는 허무이고 우리 유가는 진실이며, 석씨는 둘이고 우리 유가는 하나이며, 석씨는 간단(間斷)이 있고 우리 유가는 연속(連續)되는 것이다.”
하는 것이니, 배우는 자는 마땅히 밝게 분변(分辨)해야 할 것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4 불씨 작용이 성이라는 변 佛氏作用是性之辨


 

나는 살피건대, 불씨(佛氏)의 설에서는 작용(作用)을 가지고 성(性)이라고 하는데,
방 거사(龐居士)의 이른바 ‘먹을 물과 땔나무를 운반하는 것이 모두 묘용(妙用) 아닌 것이 없다.’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안】방거사의 게송(偈頌)에 “날마다 하는 일이 별 다름이 없으니, 내 스스로가 할 일을 하는 것뿐이네. 취할 것 취하고 버릴 것 버리고 과장하지도 말고 어긋나게 하지도 말 것. 신통(神通)에다 묘용(妙用)을 겸한 그것이 바로 먹을 물과 땔나무를 운반하는 것일세.”하였다.


대개 성(性)이란 것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어 태어난 이(理)이고, 작용이란 것은 사람이 하늘에서 얻어 태어난 기(氣)이다. 기가 엉기어 모인 것이 형질(形質)이 되고 신기(神氣)가 된다. 그러므로 마음의 정상(精爽)함이나 이목(耳目)의 총명함이나 손으로 잡음이나 발로 달림과 같은 모든 지각(知覺)이나 운동을 하는 것은 모두 기(氣)이다. 그러므로, ‘형(形)이 이미 생기면 신(神)이 지(知)를 발(發)한다.’ 하나니, 사람에게 이미 형기(形氣)가 있으면 이(理)가 그 형기 가운데에 갖추어진다. 마음에 있어서는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性)과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의 정(情)이 되고, 머리 모양에 있어서는 지(止)가 되니, 이런 등속의 것은 모두가 당연한 법칙이라 바꿀 수 없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이(理)이다.


유 강공(劉康公)은 말하기를,
“사람이 천지의 중(中)을 받아 태어났으니 이른바 명(命)이다. 그러므로 동작(動作)?위의(威儀)의 법칙을 두어 명(命)을 정(定)한다.”
하였다. 그가 말하는 ‘천지의 중(中)이다.’고 한 것은 곧 이(理)를 말함이요, ‘위의의 법칙이다.’고 한 것은 곧 이(理)가 작용에 발(發)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주자(朱子)도 말하기를,
“만일 작용을 가지고 성(性)이라고 한다면, 사람이 칼을 잡고 함부로 휘둘러 사람을 죽이는 것도 감히 성이라고 할 수 있겠느냐?”
하였다. 또 이(理)는 형이상(形而上)의 것이요, 기(氣)는 형이하(形而下)의 것인데, 불씨는 스스로 고묘 무상(高妙無上)하다 하면서 도리어 형이하의 것을 가지고 말하니 가소로울 뿐이다.
배우는 사람은 모름지기 우리 유가의 이른바 ‘위의의 법칙’이라고 하는 것과, 불씨의 이른바 ‘작용이 성’이라고 하는 것을 놓고서, 안으로는 심신(心身)의 체험에 비추어 보고 밖으로는 사물(事物)의 증험(證驗)에 비추어 본다면 마땅히 저절로 얻는 바가 있으리라.


------------------------

 

불씨잡변[佛氏雜辨]-5 @     불씨 심적의 변 佛氏心跡之辨


 

 마음이라는 것은 한 몸 가운데의 주(主)가 되는 것이요, 적(跡)이라는 것은 마음이 일에 응하고 물에 접(接)하는 위에 발하여 나타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마음이 있으면 반드시 이 적(跡)이 있다.’고 하였으니 가히 둘로 나눌 수 없는 것이다.


대개 사단(四端)이나 오전(五典)이나 만사(萬事)?만물의 이(理)는 혼연(渾然)히 이 마음 가운데에 갖추어져 있는지라, 그 사물이 옴에 있어 변함이 한결같지 않으나 이 마음의 이(理)는 느낌에 따라 응하여 각각 마땅한 바가 있어 어지럽힐 수가 없는 것이다. 어린아이가 우물로 기어들어 가는 것을 보면 세상 사람들이 모두 깜짝 놀라 어쩌나 하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가지기 마련이니, 이는 그 마음에 인(仁)의 성(性)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어린아이를 볼 때 밖으로 말하는 것은 바로 측연(惻然)한 것인데 마음과 적(跡)이 과연 둘이겠는가? 수오(羞惡)니 사양(辭讓)이니 시비(是非)니 하는 것도 모두 이와 마찬가지다.


다음으로 내 몸에 접하는 바에 비추어 보자. 아버지를 보면 효도할 것을 생각하고, 아들을 보면 사랑할 것을 생각하고, 임금을 섬김에는 충성으로 하고, 신하를 부림에는 예(禮)로써 하고, 벗을 사귐에는 신(信)으로 하는 것, 이런 것은 누가 그렇게 시켜서 하는 것일까? 그 마음에는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性)이 있기 때문에 밖으로 말하는 것이 또한 이와 같으니, 이른바 체(體)와 용(用)이 한 근원이요, 현(顯)과 미(微)에 사이가 없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저들의 학(學)은 그 마음을 취하나 그 적(跡)을 취하지 않고, 표방하여 말하기를,
“문수(文殊) 보살〔大聖〕이 술집에서 놀았는데, 그 행적은 비록 그르나 그 마음은 옳다.”
고 하는가 하면, 그들에게는 이런 유(類)의 것이 매우 많으니, 이는 마음과 행적이 판이(判異)한 것이 아니냐?
정자(程子)는 말하기를,
“불씨의 학에는 경으로 안을 곧게 함〔敬以直內〕은 있으나, 의로써 밖을 방정케 함〔義以方外〕은 있지 않다. 그러므로 막히어 고루(固陋)한 자는 고고(枯槁)한 데로 들어가고, 소통(疏通)한 자는 방자(放資)한 데로 돌아가니, 이것은 불씨의 교(敎)가 좁은 까닭이다.”
하였다.


그러나 의로써 밖을 방정케 함이 없으면 그 안을 곧게 한다는 것도 결국은 옳지 않은 것이다.
왕 통(王通)이란 사람은 유학자(儒學者)이면서도 또한 말하기를,
“마음과 적(跡)은 판이한 것이다.”
하였으니, 불씨의 설에 미혹된 무지한 자다. 그러므로 여기에 아울러 언급해 둔다

 


-----------------------


불씨잡변[佛氏雜辨]-6 @     불씨가 도와 기에 어두운 데 관한 변 佛氏昧於道器之辨


 

도(道)란 것은 이(理)이니 형이상(形而上)의 것이요, 기(器)란 것은 물(物)이니 형이하(形而下)의 것이다.
대개 도의 근원은 하늘에서 나와서 물마다 있지 않음이 없고, 어느 때나 그에 해당되지 않음이 없다. 즉 심신(心身)에는 심신의 도가 있어서 가까이는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에서부터 멀리는 천지 만물에 이르기까지 각각 그 도가 있지 않음이 없으니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 하루도 그 물을 떠나서는 독립할 수가 없다. 이런 까닭에, 내가 모든 일을 처리하고 물건을 접촉함에 또한 마땅히 그 각각의 도를 다하여 혹시라도 그르치는 바가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유가의 학이 내 마음과 몸으로부터 사람과 물건에 이르기까지 그 성(性)을 다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는 까닭이다.


대개 도(道)란 비록 기(器)에 섞이지 않으나 또한 기에서 떠나 있지도 않은 것이다. 그런데 저 불씨(佛氏)는 도에 있어서는 비록 얻은 바가 없으나, 그 마음을 쓰고 힘을 쌓은 지 오랜 까닭에 방불(??)하게 본 곳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대통〔管〕으로 하늘을 본 것과 같은 것이라, 한결같이 한갓 위로만 올라갈 뿐이요, 사통팔달(四通八達)할 수가 없어서 그 본 바가 반드시 한쪽의 치우친 데로 빠진다.


도(道)가 기(器)와 섞이지 않음을 보고는, 도와 기를 나누어 둘이라고 하여, 이에 말하기를,
“무릇 상(相)이 있는 것은 모두 다 허망한 것이다. 만일 모든 상을 상 아닌 것으로 본다면 곧 여래(如來)를 볼 것이다.”
【안】이 한 단(段)은「반야경」(般若經)에서 나왔으니 “눈 앞에는 법이 없으니, 눈에 부딪히는 것은 모두가 그러하다. 오직 이와 같은 것을 안다면 곧 여래를 보는 것이다.”라는 말이다.
고 하여, 반드시 모든 존재〔有〕를 파탈(擺脫)하려고 하다가 공적(空寂)에 떨어지는가 하면, 그 도가 기(器)에서 떠나지 않음을 보고는 기(器)를 가지고 도(道)라 하여, 이것을 말하기를,
“선(善)과 악(惡)이 모두 마음이요, 만법(萬法)이 오직 의식〔識〕이다. 그러므로 일체에 수순(隨順)하되 하는 일이 다 자연 그대로이기도 하고, 그와 반대로 미쳐 날뛰고 하고 싶은 대로 하여 온갖 짓을 못할 것이 없기도 하다.”


【안】“선한 마음이 생기면 일체에 수순하되 하는 일이 다 자연 그대로에 맞고, 악한 마음이 생기면 미쳐 날뛰고 하고 싶은 대로 하여 못할 짓이 없으니, 이러한 마음의 지닌 것이 곧 의식의 행위이다. 그러므로 선이나 악이나 마음이 아니면 의식이 없고, 의식이 없으면 마음도 없나니, 마음과 의식이 상대되어 선과 악이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고 한다. 이것은 정자(程子)가 이른바 막히어 고루(固陋)한 자는 고고(枯槁)한 데로 들어가고 소통(疏通)한 자는 방자한 데로 돌아간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도(道)라고 하는 것은 마음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지만, 이는 도리어 형이하(形而下)인 기(器)에 떨어지면서도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이니 애석한 일이기도 하다.


-------------------------


불씨잡변[佛氏雜辨]-7 @     불씨가 인륜을 버림에 관한 변 佛氏毁棄人倫之辨


 

명도(明道) 선생이 이르기를,
“도(道) 밖에 물(物)이 없고 물 밖에 도가 없다. 이것은 하늘과 땅 사이에 어디를 가나 도가 아님이 없다는 것이다. 부자(父子)에 이르러서는 부자의 친(親)한 바에 있고, 군신(君臣)에 이르러서는 군신의 엄(嚴)한 바에 있고, 부부(夫婦)와 장유(長幼)와 붕우(朋友)에 이르러서도 각각 도가 되지 아니하는 바가 없으니 이는 그것이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즉 그들이 인륜을 허물어뜨리고 사대(四大)
【안】사대(四大)는 느낌〔受〕?생각〔想〕?지어감〔行〕?의식〔識〕이다.
를 버린 그것이 그 도(道)에서 분리된 점이 멀다 하겠다.“
하고, 또 이르기를,
“말과 행위가 주변(周?)하지 않음이 없건만 실은 윤리에 벗어나 있다.”
하였으니, 선생의 말이 극진하도다.

--------------------------

 

불씨잡변[佛氏雜辨]-8 @     불씨 자비의 변 佛氏慈悲之辨


 

하늘과 땅이 물(物)을 생(生)하는 것으로써 마음을 삼았는데, 사람은 이 천지가 물을 생하는 마음을 얻어 가지고 세상에 태어났다.

그러므로 사람은 모두가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이른바 인(仁)이다.
불씨(佛氏)은 비록 오랑케〔夷狄〕이지만 역시 사람의 종류임에는 틀림이 없으니, 어찌 홀로 이러한 마음이 없으리요?


우리 유가의 이른바 측은(惻隱)은 불씨의 이른바 자비(慈悲)이니 모두가 인(仁)의 용(用)이다. 그런데 그 말을 내세움은 비록 같으나 그 시행하는 방법은 서로 크게 틀리다.
대개 육친(肉親)은 나와 더불어 기(氣)가 같은 것이요, 사람은 나와 더불어 유(類)가 같은 것이요, 물(物)은 나와 더불어 생(生)이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어진 마음의 베푸는 바는 육친에서부터 사람에, 물(物)에까지 미쳐서 흐르는 물이 첫째 웅덩이에 가득찬 후에 둘째와 셋째의 웅덩이로 흘러가는 것과 같다. 그 근본이 깊으면 그 미치는 바도 먼 것이다.


온 천하의 물(物)이 모두 나의 인애(仁愛) 속에 있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친(親)한 이를 친하게 한 후에 백성에게 어질게 하고, 백성에게 어질게 한 후에 만물을 사랑한다.”
고 하나니, 이것이 유자(儒者)의 도는 하나이고 실(實)이며 연속된다는 까닭이다.


불씨는 그렇지 않다.
그는 물(物)에 대하여서는 표독한 승냥이?호랑이 같은 것에나 미세한 모기 같은 것에도 자기 몸을 뜯어 먹혀가면서 아깝게 여기려 하지 않는가 하면, 사람에 대하여서는 월(越) 나라 사람이냐 진(秦) 나라 사람이냐를 가리지 않고, 배고픈 자에게는 밥을 먹이려 들고, 추위에 떠는 자에게는 옷을 밀어주어 입히려 드니, 이른바 보시(布施)라는 것이다. 그런데 부자(夫子)와 같은 지친(至親)에 대하여서나 군신(君臣)과 같은 지극히 공경하여야 할 데에 대하여서는 반드시 끊어 버리려 드니 이는 무슨 뜻인가? 그뿐인가, 사람이 스스로 신중을 기하는 것은 부모 처자가 있어서 그것에 배려하기 때문이거늘, 불씨는 인륜을 가합(假合)이라 하여, 아들은 그 아버지를 아버지로 여기지 않고, 신하는 그 임금을 임금으로 여기지 않아서, 은혜와 의리(義理)가 강쇠되고 각박한지라 자기 지친(至親) 보기를 길가는 사람같이 보고, 공경해야 할 어른 대하기를 어린 아이 대하듯이 하여 그 근본과 원류를 먼저 잃어버렸다.


그러므로 사람과 만물에 미치는 것이 뿌리 없는 나무나 원류(源流)없는 물이 쉽게 고갈(枯竭)되는 것과 같아, 끝내 사람을 유익하게 하고 만물을 구제하는 효과가 없다. 그런데 칼을 빼어 뱀〔蛇〕을 죽이는 데는 조금도 애석함이 없는가 하면, 지옥(地獄)의 설은 참혹하기 그지없으니, 도리어 은혜라고는 적은 사람이 된다. 앞서 이른바 자비(慈悲)란 과연 어디에 있단 말인가?


게다가 이 마음의 천리(天理)는 끝내 어둡게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극히 혼폐(昏蔽)한 사람일지라도 한번 부모를 보면 효도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유연(油然)히 생겨나는 것인데, 어찌 돌이켜 구하지 않고 이에 말하기를,


“전생의 많은 습기(習氣)를 다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에 애착의 뿌리〔愛根〕가 아직 남아있다.”
라고 하니 미혹에 집착되어 깨닫지 못함이 이보다 더할 수 없다. 불씨의 교(敎)는 의(義)가 없고 이(理)가 없는 까닭으로 명교(名敎 유교(儒敎)의 별칭)에서 용납하지 않는 것이 바로 이런 까닭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9 @     불씨 진가의 변 佛氏眞假之辨


 

불씨의 마음과 성(性)을 진상(眞常)이라 하고 천지 만물은 가합(假合)된 것이라 하였다. 그의 말에 이르기를,
“일체(一切) 중생(衆生)과 가지가지의 환화(幻化)가 모두 여래의 원각묘심(圓覺妙心)에서 나왔으니, 그것은 마치 허공에 나타나는 꽃〔空華〕이나, 물에 비친 달〔第二月〕과 같다.”


【안】이 글은「원각경」(圓覺經)에서 나온 말이다. “중생들의 업식(業識)으로서는 자기 몸 속에 바로 여래의 원각묘심이 있는 줄을 모른다. 만일 지혜로써 작용에 비춘다면 법계(法界)의 진실성이 없는 것은 허공에 나타나는 꽃과 같고, 중생들의 허망한 모양은 물에 비친 달과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묘심(妙心)은 본래의 달이고 물에 비친 달은 달의 그림자인 것이다.”고 되어 있다.
하고, 또 말하기를,

 

“공(空)이 대각(大覺) 가운데에서 생겨나는 것은, 바다에 물거품이 하나 일어나는 것과 같아, 유루(有漏)와 미진국(微塵國)이 모두 공에 의하여 세워진 것이다.”


【안】이 글은 「능엄경」(楞嚴經)에서 나왔다. “대각해(大覺海) 가운데는 본래 공(空)도 유(有)도 없는 것인데, 미혹(迷惑)의 바람이 고동(鼓動)하면 공의 물거품이 망령되이 발하여 모든 유(有)가 생겨나고 미혹의 바람이 자게 되면 공의 물거품도 없어지기 마련이라. 그러므로 거기에 의지해 생기는 모든 유는 다 유가 될 수 없는 것이다. 공의 대각이 원융(圓融)해야만 다시 원묘(元妙)로 돌아간다.”고 되어 있다.
하였다. 불씨의 말에 그 폐해가 많으나 그러나 인륜(人倫)을 끊어 버리고도 조금도 기탄(忌憚)함이 없는 것이 이 병의 근원이니, 부득이 고쳐주지 않을 수 없다.


대개 천지 만물이 있기 전에 필경 태극(太極)이 먼저 있어, 천지 만물의 이치가 그 가운데에 이미 혼연(渾然)하게 갖추어졌으리라. 그러므로,
“태극이 양의(兩儀)를 생(生)하고 양의(兩儀)가 사상(四象)을 생(生)한다.”
고 하였으니, 천만 가지 변화가 모두 이로부터 나온다. 그것은 마치 물에 근원이 있어 만 갈래로 흘러나감과 같고, 나무에 뿌리가 있어 가지와 잎이 무성해지는 것과 같아, 이것은 사람의 지혜와 힘으로 할 수도 없는 것이요, 또한 사람의 지혜와 힘으로 막을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초학자와 더불어 이야기하기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니, 모든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것부터 이야기하리라.


불씨가 죽은 지 이미 수천 년이 지났다. 하늘이 땅 위를 높이 덮은 것이 이처럼 확실하고, 땅이 하늘 밑에 판판히 뻗은 것이 이같이 뚜렷하며, 사람과 만물이 그 사이에서 태어남이 이같이 찬란하며, 해와 달과 추위와 더위가 가고 옴이 이같이 정연하다.


이리하여 천체는 지극히 크나, 그 주위의 운전(運轉)하는 도수〔度〕나, 일월성신(日月星辰)의 거꾸로 가고 바로 가고 빨리 가고 느리게 가는 운행〔行〕은 비록 비바람 불고 어두운 저녁을 당하여도 능히 8척(尺)의 선기(璇璣)와 몇 촌(寸)의 옥형(玉衡)에 벗어날 수 없고, 햇수의 쌓임이 몇억 년에 이르러도 24절기(節氣)의 고루 나뉨이나, 삭허(朔虛)?기영(氣盈)하는 그 여분(餘分)의 쌓임이 털끝같이 미세한 데 이르러서도 또한 승(乘)과 제(除)의 두 방법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맹자(孟子)의 이른바,
“하늘의 높음이나 성신(星辰)의 멂이라도, 진실로 그 연고를 구한다면 천년 후의 동지(冬至)도 앉아서 알 수 있다.”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이것은 또 누가 시켜서 그런 것인가? 반드시 실(實)하나 이치가 있어 그렇게 되도록 주장하는 것이리라.


또 가(假)라는 것은 잠시에 불과한 것으로 천만 년 오래 갈 수는 없는 것이며, 환(幻)이라고 하는 것은 한 사람을 속일 수 있어도 천만 사람을 믿게 할 수는 없는 것인데, 천지의 상구(常久)함이나 만물의 상생(常生)하는 것을 가(假)라고 하고 환(幻)이라고 하니 이는 어떻게 된 말인가?


아니, 불씨는 궁리(窮理)의 학이 없어 그 설을 구하여도 얻지 못함인가? 아니면 그 마음이 좁아 천지의 큼이나 만물의 많음을 그 안에 용납하지 못함인가? 그것도 아니면 지수(持守)의 요약(要約)만을 좋아하고 궁리의 번거로움이나 만변(萬變)에 수응(酬應)하는 수고로움을 싫어함인가?


장자(張子 장 재(張載). 송나라 때 학자.)가 말하기를,
“밝은 것은 다 속일 수 없다.”
하였거늘, 천지 일월을 환망(幻忘)이라 하니, 불씨가 그런 병통을 받은 것이 반드시 유래가 있어서이다. 요컨대 그의 보는 바가 가려져 있으므로 그 말하는 바의 편벽 됨이 이와 같은 것이다. 아아 애석한 일이기도 하다.
내 어찌 말 많이 하기를 좋아하겠는가마는, 내가 말을 그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저들의 마음이 너무 미혹(迷惑)되고 어두운 것이 불쌍하기 때문이요, 우리의 도(道)가 쇠폐(衰廢)될까 근심스럽기 때문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0 @     불씨 지옥의 변 佛氏地獄之辨


선유(先儒)가 불씨의 지옥설을 변박(辨駁)하여 말하기를,
"세속(世俗)이 중〔浮屠〕들의 그 속이고 꾀는 말을 믿어, 상사(喪事)가 있으면 모든 사람이 부처에게 공양(供養)하고 중에게 밥을 주면서 말하기를, '죽은 자를 위하여 죄를 없애고, 복을 받아 천당에 태어나서 쾌락(快樂)을 누리도록 하는 것인만큼, 만약 부처에게 공양하지 않고 중에게 밥을 주지 않는 자라면 반드시 지옥에 떨어져 썰리고, 타고, 찧이고, 갈리〔磨〕는 갖가지의 고초를 받는다.'고 하니 죽은 자의 형체가 썩어 없어지고 정신 또한 흩어져 버려, 비록 썰고 불태우고 찧고 갈려고 하여도, 손댈 곳이 없는 줄을 전연 모르기 때문이다. 또 불법이 중국에 들어오기 전에도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난 사람들이 있었는데, 어째서 한 사람도 지옥에 잘못 들어가 소외 시왕〔十王〕이란 것을 본 자가 없단 말인가? 그 지옥이란 없기도 하거니와 믿을 수 없음이 명백하다."


하고,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석씨(釋氏)의 지옥설은 다 낮은 근기〔下根〕의 사람들을 위해 이렇게 겁나는 지옥설을 만들어 착한 일을 하게 할 뿐이다."
한다.
정자(程子)는 이에 이르기를,
"지극한 정성이 천지를 관통하여도 오히려 사람이 감화되지 못하는데, 어찌 거짓된 가르침에 사람이 감화될 수 있겠느냐?"
하였다.


옛날에 어떤 중이 나에게 묻기를,
"만일 지옥이 없다면 사람이 무엇이 두려워 악한 짓을 안 하겠느냐?"
하기에, 내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군자(君子)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함은, 마치 좋은 색을 좋아하고 나쁜 냄새를 싫어함과 같아 모두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지 무엇을 위해서 하는 것은 아니다. 한번이라도 악명(惡名)이 있게 되면 그 마음에 부끄러워하기를 마치 시장에서 종아리를 맞은 듯이 여기나니, 어찌 지옥설 때문에 악한 짓을 하지 않는다고 하겠느냐?"


하였더니, 그 중은 아무 말도 못하였다. 여지에 이 사실을 아울러 써서, 그 설에 미혹되는 세상 사람들이 분변할 줄을 알도록 하고자 한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1 @     불씨 화복의 변 佛氏禍福之辨


 

하늘의 도(道)는 선한 이에게 복을 주고 악한 이에게 화를 주며, 사람의 도는 선한 이에게 상을 주고 악한 이에게 벌을 주나니, 대개 사람에게는 마음가짐에 사특함과 바름이 있고, 행동함에 옳고 그름이 있어서, 화와 복이 각각 그 유(類)에 따라 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시경」(詩經)에,
“복을 구하되 사(邪)되게 하지 않는다.”
하였으며 공자(孔子)는,


“하늘에 죄를 받으면 빌 곳이 없다.”
하였으니, 대개 군자는 화복에 대하여 자기 마음을 바르게 하고 자기 몸을 닦을 뿐이지만, 복은 구태여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고, 화는 구태여 피하지 않아도 저절로 멀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군자는 종신토록 할 근심은 있어도 하루 아침의 근심은 없다.”
하나니, 밖으로부터 화가 닥쳐오더라도 순순히 그것을 받을 뿐이니, 추위나 더위가 앞을 지나가는 것처럼 하여 나 자신은 그것에 관여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저 불씨는 사람의 사정(邪正)이나 시비는 논하지 않고 이에 말하기를,
“우리 부처에게로 오는 자를 화를 면하고 복을 얻을 수 있다.”
고 한다. 이것은 비록 열 가지의 큰 죄악을 지은 사람일지라도 부처에게 귀의(歸依)하면 화를 면하게 되고, 아무리 도(道)가 높은 선비일지라도 부처에게 귀의하지 않으면 화를 면할 수 없다는 말이다. 가령 그 말이 거짓이 아니라 할지라도 모두 사심(私心)에서 나온 것이요, 공도(公道)가 아니니 징계해야 할 것이다.


하물며 불설(佛說)이 일어난 후 오늘에 이르는 수천 년 동안에 부처 섬기기를 매우 독실하게 한 양 무제(梁武帝)나 당 헌종(唐憲宗)과 같은 이도 모두 화를 면하지 못하였으니, 한 퇴지(韓退之 한 유(韓兪)의 자(字),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가 이른바,


“부처 섬기기를 더욱 근실하게 할수록 연대(年代)는 더욱 단축되었다.”
한 그 설이 또한 깊고도 간절하고 뚜렷하지 않은가?


----------------------


불씨잡변[佛氏雜辨]-12 @     불씨 걸식의 변 佛氏乞食之辨


 

사람에게 있어서 먹는다는 것은 큰 일이다. 하루도 먹지 않을 수 없는가 하면, 그렇다고 해서 하루도 구차하게 먹을 수는 없는 것이다. 먹지 않으면 목숨을 해칠 것이요, 구차스럽게 먹으면 의리를 해칠 것이다. 그러므로 홍범(洪範)의 팔정(八政)에 식(食)과 화(貨)를 앞에 두었고, 백성에게 오교(五敎 오상(五常)의 교를 이름이니,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의 가르침이다.)를 중하게 하되, 식을 처음에 두었으며, 자공(子貢)이 정사〔政〕에 관하여 물으니 공자(孔子)도 대답하기를,
“먹을 것부터 족(足)하게 하라.”
하였다.


이는 옛 성인들도 백성이 살아가는 데는 하루도 먹지 않을 수 없음을 잘 알았던 까닭이다. 그러므로 모두 이에 급급히 하여 농사를 장려하는가 하면 공물(貢物)과 세금 내는 제도를 두어 군사와 국가의 용도에 충당하게 하고, 제사와 손님 접대에 공급하게 하고, 홀아비나 과부나 자식없는 노인이나 고아를 먹여 살리게 함으로써 곤핍(困乏)과 기아(飢餓)의 탄식을 없게 하였으니 이것을 볼 때 성인이 백성을 염려하심이 원대하였던 것이다.
위로 천자와 공경 대부(公卿大夫)는 백성을 다스림으로써 먹고, 아래로 농부?공장(工匠)?상인들은 힘써 일함으로써 먹고, 그 중간인 선비는 집안에서 효도하고 집 밖에서 공경하여 선왕의 도를 지켜 후학(後學)을 가르침으로써 먹었으니 이는 옛 성인들도 하루도 구차스럽게 먹고 살 수 없음을 알았기 때문이며,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각각 그 직분(職分)이 있어 하늘의 양육을 받았으니 백성의 범죄를 방지함이 지극하였기 때문이다. 이 반열(班列)에 속하지 않은 자는 간사한 백성이라 하여 왕법으로 반드시 죽이고 용서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런데「금강경」(金剛經)에 이르기를,


“어느 때 세존(世尊)이 식사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鉢〕를 가지고는 사위성(舍衛城)
【안】사위는 파사국(波斯國:페르시아)의 이름이다.
에 들어가 그 성(城) 가운데에서 걸식(乞食)을 하였다.‘
하니, 대저 석가모니(釋迦牟尼)라는 사람은 남녀가 같은 방에서 사는 것을 옳지 않다고 하며, 인륜(人倫)의 밖으로 나가서 농사 일을 버리고, 생생(生生)의 근본을 끊어 버리고는, 그런 도(道)로써 천하를 바꾸려고 하고 있으나, 참으로 그의 도와 같이 된다면 천하에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니, 과연 빌어먹을 사람인들 있겠는가? 또 천하의 음식이 없어질 것인데 빌어먹을 음식인들 있겠는가?


석가모니라는 사람은 서역(西域) 왕의 아들로, 그의 아버지의 위(位)를 옳지 않다고 하여 받지 않았으니, 백성을 다스릴 자는 아니며, 남자가 밭가는 것이나 여자가 베짜는 것을 옳지 않다고 하여 버렸으니, 힘써 일한 것이 뭐가 있는가? 부자(父子)도 없고, 군신(君臣)도 부부(夫婦)도 없으니, 또한 선왕(先王)의 도를 지키는 자도 아니다.


이런 사람은 하루에 쌀 한 톨을 먹을지라도 모두 구차하게 먹는 것이니, 진실로 그 도(道)와 같이 하려면 지렁이〔?蚓〕처럼 아예 먹지 않은 뒤에라야 가능할 것이니, 어찌 빌어서 먹는단 말인가? 더구나 자기 힘으로 벌어서 먹는 것을 옳지 않다고 하니 그렇다면 빌어먹는 것은 옳단 말인가?


불씨의 그 의(義)도 없고 이(理)도 없는 말들이 책만 펴면 이내 보이기 때문에 여기서 논하여 변박하는 바이다.
불씨가 그 최초에는 걸식(乞食)하면서 먹고 살 뿐이어서, 군자(君子)는 이것을 의(義)로써 책망하여 조금도 용납함이 없었는데도, 오늘날에는 저들이 화려한 전당(殿堂)과 큰 집에 사치스러운 옷과 좋은 음식으로 편안히 앉아서 향락하기를 왕자(王子) 받듦같이 하고, 넓은 전원(田園)과 많은 노복을 두어 문서가 구름처럼 많아 공문서를 능가하고, 분주하게 공급하기는 공무(公務)보다도 엄하게 하니, 그의 도(道)에 이른바 번뇌를 끓고 세간에서 떠나 청정(淸淨)하고 욕심 없이 한다는 것은 도대체 어디에 있다는 말인가?


가만히 앉아서 옷과 음식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좋은 불사(佛事)라고 거짓 칭탁(稱托)하여 갖가지 공양에 음식이 낭자(狼藉)하고 비단을 찢어 불전(佛殿)을 장엄하게 꾸미니, 대개 평민 열 집의 재산을 하루 아침에 온통 소비한다. 아아! 의리를 저버려 이미 인륜의 해충(害?)이 되었고, 하늘이 내어주신 물건을 함부로 쓰고 아까운 줄을 모르니 이는 실로 천지에 큰 좀벌레로다.


장자(張子)가 말하기를,
“위로는 예(禮)로써 그 거짓을 막을 만한 이가 없고, 아래로는 학으로써 그 가림〔蔽〕을 열어 줄 만한 이가 없으니, 혼자라도 두려워하지 않고 정일(精一)하여 스스로를 믿고 남보다 뛰어난 재주 있는 이가 아니고서야 어찌 그 사이에 바로 서서 그와 더불어 옳고 그름을 비교하고 득실을 따질 수 있으랴?”
하였으니, 아아! 선생의 깊이 탄식한 것이 어찌 우연이리요, 어찌 우연이리요.


----------------------------------


불씨잡변[佛氏雜辨]-13 @     불씨 선?교의 변 佛氏禪敎之辨


불씨의 설이 그 최초에는 인연(因緣)과 과보(果報)를 논(論)하여 어리석은 백성을 속이고 꾀는 데 불과한지라, 비록 허무를 종(宗)으로 삼아 인사(人事)를 저버렸지만, 그래도 선을 행하면 복을 얻고 악을 행하면 화를 얻는다는 설은 있어, 사람들로 하여금 악을 징계하고 선을 권장하며, 몸가짐을 계율(戒律)에 맞춤으로써 방사(放肆)해지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게 하였었다. 그러므로 인륜은 비록 저버렸으면서도 의리를 모두 상실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달마(達摩)가 중국에 들어와서는 그의 설이 얕고 비루(卑陋)하여 고명(高明)한 선비들을 현혹시킬 수 없음을 스스로 깨닫고서 이에 말하기를,
“문자에도 의존하지 않고 언어의 길도 끊어졌다.”
하고는,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 자기 본성만 깨달으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외쳤다.
그말이 한번 나와 첩경(捷徑)이 문득 열림으로써, 그들의 무리가 서로 돌려가며 논술하였으니,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선(善)도 또한 이 마음이니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닦을 수 없으며 악(惡)도 또한 이 마음이니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끊을 수도 없다.”
하여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하는 도를 끊었고, 또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음(淫)과 노(怒)와 치(癡)도 모두 범행(梵行 음욕(淫慾)을 끓는 깨끗한 수행)이다.”
하니, 이는 계율(戒律)에 맞추어 몸 가지는 도를 잃어버렸거늘, 그럼에도 스스로 세속(世俗)의 일정한 형(型)에서 벗어나 속박을 풀어버린다 하여 오만하게 예법 밖으로 나가 제멋대로 방사(放肆)하기를 미친 것처럼 급급하니 사람의 도리라고는 조금도 없는지라, 이른바 의리라는 것도 이에 이르러 모두 상실했다 하겠다.
주 문공(朱文公 주희 朱熹)은 이를 근심하여 다음의 시를 읊었다.


서방세계는 연과 업을 논하여, 西方論緣業
비루하게도 뭇 어리석은 자들을 꾀는구나. 卑卑喩群愚
흘러 전한 그 세대가 오래 됨에는, 流傳世代久
사다리의 대임이 허공을 능가하도다. 梯接凌空虛
이것 저것 보고 모두 보며 심성을 가리켜, 顧?指心性
유무를 초월했다 이름지어 말하네. 明言超有無
【안】본설에 대략 세 가지 순서가 있으니 처음에 재계가 있고 그 다음에 의학(義學)이고 선학(禪學)이다. 연(緣)의 이름은 열 들이 있으니 촉(觸)?애(愛)?수(受)?취(取)?유(有)?생(生)?노(老)?사(死)?우(憂)?비(悲)?고(苦)?뇌(惱)이다. 업(業)의 이름은 셋이 있으니 신(身)?구(口)?의(意)이다. 심(心)과 성(性)을 가리킨다는 것은 나의 마음이 곧 불심이니, 나의 성(性)을 깨달아 부처를 이룬다는 것을 말함이다. 유무를 초월했다는 것은, 유를 말하면 ‘색(色)은 곧 공이다.’
하고, 무를 말하면 ‘공은 곧 색이다.’ 하는 것을 이른 말이다.


빠른 길이 한번 열리자, 捷徑一以開
바람에 휩쓸리듯 온 세상이 쏠리는데, 靡然世爭趨
공만을 부르짖고 실은 밟지 않고, 號空不踐實
저 가시덤불 길에 갈팡질팡하는구나. ?彼?棘塗
그 누가 삼성을 계승하여, 誰哉繼三聖
【안】세 성인은 우(禹)?주공(周公)?공자(孔子)
우리들을 위해 그 글을 불사를 건가. 爲我焚其書
주 문공께서 이처럼 깊이 근심하신지라 나 또한 이를 위하여 서글퍼 재삼탄식하는 바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4 @     유가와 불가와의 같고 다른 변 儒釋同異之辨


선유(先儒)가 이르기를,
“유가(儒家)와 석씨(釋氏)의 도(道)는 문자의 구절(句節) 구절은 같으나 일〔事〕의 내용은 다르다.”
하였다. 이제 또 이로써 널리 미루어 보면, 우리(유가 儒家)가 허(虛)라고 하고, 저들(불가 佛家)도 허라 하고, 우리거 적(寂)이라 하고 저들도 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허(虛)는 허하되 있는 것이요, 저들의 허는 허하여 없는 것이며, 우리들의 적(寂)은 적하되 느끼는 것이요, 저들의 적은 적하여 그만 끝나는 것이다.
우리는 지(知)와 행(行)을 말하고, 저들은 오(悟)와 수(修)를 말한다. 우리의 지는 만물의 이치가 내 마음에 갖추어 있음을 아는 것이요, 저들의 오(悟)는 이 마음이 본래 텅 비어 아무것도 없음을 깨닫는 것이며, 우리의 행(行)은 만물의 이치를 따라 행하여 잘못되거나 빠뜨림이 없는 것이요, 저들의 수(修)란 만물을 끊어 버려 내 마음에 누(累)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마음 속에 모든 이치가 갖추어져 있다고 하고, 저들은 마음이 만법을 낳는다고 하니, 이른바 모든 이치를 갖추었다고 하는 것은, 마음 가운데에 원래 이 이(理)가 있어 바야흐로 이(理)가 정(靜)할 때에는 지극히 고요하여 이 이치의 체(體 본체)가 갖추어지고, 이(理)가 동(動)하게 되어서는 느끼고 통하여 이 이치의 용(用 작용)을 행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고요하여 움직이지 않아도 감(感)하여 천하의 모든 연고〔故〕를 드디어 통한다.”
는 것이 이것이다. 그러나 이른바 만법(萬法)을 낳는다는 것은 마음 가운데에 본래 이 법이 없는 것인데 외계(外界)를 대한 후에 법이 생긴다. 그러므로 바야흐로 법(法)이 정(靜)할 때에는 이 마음이 머물러 있는 곳이 없고, 법(法)이 동(動)하게 되어서는 만나는 바의 경계(境界)에 따라 생긴다는 것이니, 그가 말하기를,
“주착(住著)하는 바가 없음에 응하여 그 마음이 생긴다.”


【안】이 말은「반야경」(般若經)에서 나온 것으로, 주착하는 바가 없음에 응한다는 것은 안팎이 전연 없으므로 가운데가 허하여 물(物)이 없고, 선악 시비를 가슴 가운데에 두지 않아서 그 마음에 생기는 것은 주착함이 없는 마음으로 밖에 응하여 물(物)에 누(累)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니 사씨(謝氏)가「논어」의 ‘무적 무막(無敵無莫)’이란 글을 해석할 때에 이 말을 인용하였다.


하고 또 말하기를,
“마음이 일어나면 일체(一切)의 법이 생기고, 마음이 사라지면 일체의 법도 사라진다.”
【안】기신론(起信論)에서 나왔다.
는 것이 이것이다.
우리는 이(理)가 진실로 있다고 하는데, 저들은 법(法)이 인연을 따라 일어난다 하니, 어쩌면 그 말은 같은데 일은 이렇게도 다른가?
우리는,
“내가 있어서 만 가지 변화를 수작(酬作)한다.”
하는데, 저들은,
“나를 떠나서 일체에 수순(隨順)한다.”
하니 그 말은 같은 것 같으나, 그러나 이른바 ‘만 가지 변화를 수작한다.’는 것은, 그 어떤 사물이 올 때 그 마음이 그것에 응하여 각각 그 마땅한 법칙에 따라 알맞게 처하여, 그 마땅함을 잃지 않게 하는 것이다. 만일 여기에 아들된 사람이 있으면 반드시 효자(孝子)가 되게 하고 적자(賊子)가 되지 못하게 하며, 여기에 신하된 사람이 있으면 충신(忠臣)이 되게 하고 난신(亂臣)이 되지 못하게 하며, 물(物)에 이르러서도 소〔牛〕는 밭을 갈고 사람을 떠받지는 못하게 하며, 말은 물건을 싣되 사람을 물지는 못하게 하며, 호랑이는 함정을 만들어 사람을 물지 못하게 하나니, 대개 그 각각의 진실을 가지고 있는 이치에 인하여 처하게 하는 것이다.


만일 석씨(釋氏)의 이른바 ‘일체에 수순(隨順)한다.’는 것은 무릇 남의 아들된 사람의 경우에, 효자되는 사람은 스스로 효자되고 적자(賊子)되는 사람은 스스로 적자되며, 남의 신하된 사람의 경우는, 충성하는 사람은 스스로 충신되고, 난(亂)하는 사람은 스스로 난신(亂臣)되며, 소나 말이 밭 갈고 물건을 싣고 하는 것이 스스로 갈고 싣고 하며, 사람을 떠받고 물고 하는 것도 스스로 떠받고 물고 하여, 스스로 하는 대로 들어 줄 뿐이요, 내 마음을 그 사이에 씀은 없다.


불씨의 학이 이와 같은지라 저들 스스로가 물(物)을 부리기는 하되 물에게 부림이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만일 돈 한푼을 주어도 곧 그것을 어찌 할 줄을 모른다면 그 일이 이상하지 않은가? 그런즉 하늘이 이 사람을 내어 만물의 영장이 되게 하고, 재성(財成)?보상(輔相)의 직책을 준 이유가 과연 어디에 있겠는가?
그 설이 반복되어 두서(頭緖)가 비록 많으나, 요컨대 우리는 마음과 이치가 하나라고 본 것이요, 저들은 마음과 이치가 둘이라고 본 것이며, 저들은 마음이 공(空)함으로써 이치도 없다고 보았고, 우리는 마음이 비록 공(空)하나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자면, 우리 유가는 하나이고 석씨는 둘이며, 우리 유가는 연속이고 석씨는 간단(間斷)인 것이다.
그러나, 마음은 마찬가지이니 어찌 우리와 저들의 같고 다름이 있겠는가? 다만 사람의 보는 것이 옳게 보았느냐 잘못 보았느냐에 있을 뿐이다.


석씨는 그 마음을 체험한 경지에 대하여 말하기를,
네 원소로 된 몸〔四大身〕가운데
어느 것을 주(主)라 하고, 四大身中誰是主
여섯 감관의 번뇌〔六根塵〕속에
무엇을 정(精)이라 할까. 六根塵裏孰爲靜


【안】〈대(大)는 그 이상 더 큰 것이 없다는 뜻으로 번역하여 원소라 함.〉지(地:뼈) 수(水:피?고름) 화(火:온기) 풍(風:호흡) 이 사대(四大)가 화합하여 하나의 몸이 되었으나 그 네 가지 원소를 따로 떼내면 본래 주(主)가 없는 것이고, 눈에 대한 빛깔과 귀에 대한 소리와 코에 대한 냄새와 입에 대한 맛과 피부에 대한 감촉이 여섯 가지〔六根〕의 번뇌인데 그것에 서로 대경(對境)이 되어 생기지만, 그 6근(六根)을 따로 떼내면 본래 정(精)이 없으므로, 마치 거울에 비치는 형상을 있다고 하지만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캄캄한 어두운 땅에서 눈을 떠 보라, 黑漫漫地開眸看
온 종일 소리는 들리어도 형체를 볼 수 없다네. 終日聞聲不見形
【안】지혜로써 용(用)에 비추면 비록 캄캄한 어두운 땅에서 눈을 떠 보아도 그 캄캄한 속에 광명이 있나니, 마치 거울 빛이 어두움 속에서도 광명이 있는 것과 같음이다.
하였고, 우리 유가에선 마음의 체험한 경제를 말하기를,
있다고 한들 어찌 자취가 있으며 謂有靈有跡
없다고 하면 다시 어찌 있으랴. 謂無復何存
오직 사물에 응하여 수작할 즈음에, 惟應酬酢際
다만 통달하여 본근을 볼 뿐이다. 特達見本根
【안】이는 주자의 시이었다.
하였다.


또 도심(道心)이란 본래 형체가 없거늘 소리가 있겠는가? 역시 이 이치를 마음에 간직하여 수작의 본근을 삼아야 하리니, 배우는 자가 일상생활을 하는 사이에 이 마음의 발현되는 곳에 나아가서 실제로 체험하고 궁구(窮究)해 본다면, 그들과 우리와의 같은 점과 옳게 본 것과 잘못 본 것을 스스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주자(朱子)의 설로써 거듭 말하건대, 마음이 비록 한 몸의 주(主)가 되지만 그 체(體)의 허령(虛靈)함은 족히 천하의 이치를 주관할 수 있고, 이치가 비록 만물에 흩어져 있지만 그 용(用)의 미묘(微妙)함은 실로 사람의 한 마음을 벗어나지 않으니, 처음부터 어느 것이 안이고 밖이고, 어느 것이 정(精)하고 조(粗)함임을 논(論)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혹 이 마음의 신령스러움을 알지 못하여 이것을 간직함이 없다면 어둡고 뒤섞이어 모든 이치의 묘함을 궁구하지 못할 것이요, 모든 이치의 묘함을 알지 못하여 궁구함이 없으면, 막히어 이 마음의 온전함을 다하지 못하리니 이것은 그 이론으로나 사세로 보아 서로 그렇게 되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성인(聖人)이 가르침을 베풀되, 사람들에게 이 마음의 신령스러움을 제 스스로가 알아 단정(端正)하고 엄숙(嚴肅)하고 정일(精一)한 가운데에 이 마음을 간직하여 이 이치를 궁구하는 근본으로 삼게 하며, 사람들에게 모든 이치의 묘함이 있는 줄을 알아, 배우고 묻고 생각하고 분변하는 그 즈음에 궁구하여 마음을 극진히 하는 공(功)을 이룩하되, 크고 작음을 서로 흐뭇하게 하고 동(動)하거나 정(靜)함을 함께 길러갈 뿐, 처음부터 그 어느 것이 안이고 밖이고, 어느 것이 정하고 조함임을 택하지 않게 하나니, 참으로 오랫동안 힘을 쌓아 활연(豁然)히 관통하는 데에 이르면 역시 혼연히 하나가 되는 줄을 알아서 과연 안이고 밖이고 정하고 조함이 없음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는 꼭 이러한 것을 천근(淺近)하고 지리(支離)하게 여겨 형체를 숨기고 그림자를 감추려 하면서 따로이 일종의 궁벽하고 황홀하고 까다롭고 앞뒤가 막힌 논리를 만들어, 힘써 배우는 자로 하여금 막연히 그 마음을 문자와 언어 밖에 두게 하여 말하기를,
“도(道)는 반드시 이같이 한 후에야 얻을 수 있다.”
하니 이것은 근세의 불씨의 학의 피?음?둔?사(?淫遁邪)가 더욱 심한 것인데, 이것을 옮겨와서 옛 사람의 명덕(明德)과 신민(新民)의 참된 학을 어지럽히고자 하니 그 또한 잘못이다. 주자의 말이 이 모든 것을 되풀이하고 변론하여 친절하게 밝혔으니, 배우는 자는 이에 잠심(潛心)하여 스스로 얻어야 할 것이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5 @     불법이 중국에 들어 옴 佛法入中國


【】여기서부터 “부처 섬기기를 극진히 할수록 연대는 단촉(短促)되었다.”〔事佛甚謹年代犬促〕까지는 진씨(眞氏 덕수 德秀)의「대학연의」(大學衍義)의 설을 인용한 것이다.
한(漢) 나라 명제(明帝)는, 인도〔西域〕에 신(神)이 있어 그 이름이 불(佛)이라는 말을 듣고 사신(使臣)을 천축(天竺)에 보내어 그 글과 중〔沙門〕을 얻어 들여왔는데 그 글은 대개 허무(虛無)를 으뜸으로 삼고, 자비(慈悲)와 살생(殺生)하지 않는 것을 귀히 여겨 말하기를,


“사람은 죽어도 정신은 멸하지 않아 다시 형체(形體)를 받아 태어나는데, 살아 있을 때에 선(善)한 일을 하고 악(惡)한 일을 한 바에 따라, 다 보응(報應)이 있다.”
하였다.
그러므로 수련(修鍊)하려 부처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광원 광활〔宏闊〕하고 수승 방대〔勝大〕한 말을 잘 하여 어리석은 백성을 유혹하였는데, 그 도(道)에 정통(精通)한 사람을 사문(沙門)이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중국에 그 법이 전해져서 그 형상(形像)을 그림으로 그렸다. 그런데 왕공(王公) 귀인(貴人)으로는 유독 초왕(楚王) 영(英)이 가장 먼저 좋아하였다.


진 서산(眞西山 진 덕수(眞德秀)의 호)이 말하기를,
“신(臣)은 상고하건대, 이것은 불법(佛法)이 중국에 들어온 시초입니다. 이때에 얻어온 것은 불경(佛經) 42장인데 난대(蘭臺) 석실(石室)에 감추어 두었을 뿐이었고, 얻어온 불상(佛像)은 청량대(淸凉臺)와 현절릉(顯節陵)에 그림으로 그렸을 뿐이었습니다.


초왕 영(英)이 비록 불교를 좋아하였으나 재계〔齋〕를 정결하게 하여 제사를 지내는데 불과할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영은 이내 죄에 걸려 목 잘려 죽었고, 복리의 보답을 받았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그 후에 한(漢)의 영제(靈帝)가 처음으로 궁중(宮中)에 사당(祠堂)을 세웠고, 위진(魏晉) 이후로 그 법이 점점 성하여, 오호(五胡)의 임금으로서, 이를테면, 석 늑(石勒)이 불도징(佛圖澄)에게, 부 견(符堅)이 도안(道安)에게, 요흥(姚興)이 구마라습(鳩摩羅什)에게 이따금 스승의 예(禮)로써 받들었으며, 원위(元魏)의 효문제(孝文帝)는 현명한 임금이라고 칭하지만, 역시 절에 나아가 재(齋)를 올리고 설법을 들었으니, 이때부터 소량(蕭粱)에 이르기까지는 그 성(盛)함이 극도에 달하였습니다. 그러나 근원은 영평(永平 후한 명제(後漢明帝)의 연호) 연간으로부터 시작되었으니, 명제(明帝)를 책(責)하지 않고 누구를 책하겠습니까?“
하였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6 @     불씨를 섬겨 화를 얻음 事佛得禮


 

양 무제(梁武帝)는 중대통(中大通 양 무제의 연호) 원년(529) 9월에 동태사(同泰寺)에 나아가 사부(四部) 대중을 모아 무차대회(無遮大會)를 열고 어복(御服)을 벗고 법의(法衣)를 걸친 후 청정대사(淸淨大捨 몸을 바쳐 희사함.)를 행하니 모든 신하들이 돈 1일억만(一億萬)을 가지고 삼보(三寶 불(佛)?법(法)?승(僧))앞에 빌고 황제의 몸을 굽혀 속죄하는데, 중들은 그대로 절을 받으면서 말 한마디 없었고, 임금은 궁궐로 돌아왔다. 무제(武帝)가 천감(天監 양 무제의 처음 연호) 연간으로부터 석씨(釋氏)의 법을 써서 오래도록 재계하여 고기를 먹지 않고 하루에 한 끼만 먹는 것도 나물국에 거친 밥뿐이요, 탑을 많이 쌓아 공사(公私)간에 비용을 많이 소비하였다.


이때에 왕후(王侯)와 그의 자제들이 교만하고 음란하여 법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임금은 늙어서 정치에 권태를 느끼고 또 부처의 계율에만 오로지 정신을 써서, 매양 중죄(重罪)를 처단할 때에는 종일토록 괴로와 하였고, 혹은 반역을 꾀하는 일이 발각도어도 역시 울면서 용서해 주었다. 이로 말미암아 왕후(王侯)들은 더욱 횡포(橫暴)하여 혹은 대낮에 도시의 거리에서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혹은 어두운 밤에 공공연히 약탈을 자행하기도 하며, 죄가 있어 망명하기 위해 공주(公主)의 집에 숨어 있으면 관리들이 감시 수사한테 잡지를 못하였으니, 임금은 그 폐단을 잘 알면서도 자애(慈愛)에 빠져 금하지 못하였다.


중대동(中大同 양 무제의 연호) 원년(546) 3월 경술(庚戌)에 임금이 동태사(同泰寺)에 나아가 절집에 머물면서「삼혜경」(三慧經)을 강(講)하기 시작하여 4월 병술(丙戌)에야 강을 끝마쳤다. 그런데 이날 밤에 동태사(同泰寺)의 탑(塔)이 화재를 당하자 임금이 말하기를,
“이것은 마귀 때문이니, 마땅히 불사(佛事)를 크게 하리라.”
하고, 이에 조서(詔書)를 내려 이르기를,
“도(道)가 높을수록 마귀가 성(盛)하고, 선(善)을 행함에는 장애가 생기나니, 마땅히 토목공사를 크게 하여 전날의 배로 증가시키리라.”
하고, 드디어 12층 탑을 기공하여 완성되어 갈 무렵에 후경(侯景)의 난을 만나 중지되었다.


대성(臺城 양 나라의 서울)이 함락됨에 이르러서 임금의 동태사에 가두어 두었는데, 임금이 목이 말라 그 절 중에게 꿀물을 요구했으나, 얻지 못하고 마침내 굶어 죽었다.
진 서산(眞西山)이 말하기를,
“위진(魏晉) 이후의 임금 가운데에 부처 섬기기를 양 무제(梁武帝)만큼 성하게 한 사람은 없었다. 대저 만승(萬乘)의 존귀(尊貴)함으로서 스스로 그 몸을 버려 부처의 시역(?役) 노릇은 했으니 그 비열하고 아첨함이 극심하다 할 것이다. 채소와 면식(麵食)으로 종묘의 제사 지내는 생뢰(牲牢)와 바꾸었으니, 그것은 아마도 명도(冥道)에 누(累)됨이 있을까 두려워함이요, 직관(織官)이 비단에 무늬를 놓는데, 사람이나 금수(禽獸)의 형상을 놓는 것까지를 금하였으니, 그것은 가위로 재단할 때에 인(仁)?서(恕)에 어그러짐이 있을까 두려워함이며, 신하가 반역을 꾀하여도 용서하여 죽이지를 않고, 백주에 도둑질을 자행하여도 차마 금하지 못하였으니, 이 모두가 부처의 계율을 미루어 넓히려고 하였기 때문이라 하겠다.


대개 논(論) 하건대,
신선(神仙)을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한 나라 무제가 얻었을 것이요, 부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양 나라 무제가 얻었을 것인데 두 임금이 얻지 못하였음을 볼 때 그 구해서 얻을 수 없는 것이 명백한 사실임을 알 수 있다.
비록 구하여 얻는다 하더라도 오랑캐의 허황한 교(敎)로는 중국을 다스릴 수는 없는 것이고 산림(山林)에 도피해 사는 행동으로는 국가를 다스릴 수 없는 것이거늘 하물며 구할 수 없는 것이랴! 한 무제는 신선을 탐하다가 마침내 국고(國庫)가 텅 비도록 소모하는 화(禍)를 입고, 양무제는 부처에게 아첨하다가 마침내 위망(危亡)의 액(厄)을 초래하였은즉, 탐하고 아첨하여도 도움됨이 없는  것이 또한 명백한 사실이다.


또 그 몸을 버려가면서 부처를 섬기는 것은 어찌 진세(塵世)의 시끄러움이 싫어 공적(空寂)함을 즐기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들이 과연 저 가유(迦維 가비라위(迦毗羅衛)석가가 탄생한 땅)의 맏아들〔嫡?〕처럼 임금 자리를 헌신짝같이 보고 옷을 걷어 붙이고 갈 수 있었다면 거의 참으로 부처를 배우는 사람이라 하겠지만, 특히 양 무제는 이미 찬탈(簒奪)하고 시역(弑逆)하여 남의 나라를 빼앗았고, 또 공벌(攻伐)로써 남의 땅을 침범했으며, 급기야 늘그막에 그의 태자(太子) 소통(蕭統) 같은 자효(慈孝)한 아들을 끝내 의심하고 못마땅하게 여겨, 죽을 때까지 탐심에 연연하기가 이러하였으니, 또 어찌 참으로 그 몸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이라 하겠는가? 옷을 바꿔 입고 수도에 들어가는 것은 이미 부도(浮屠)의 복을 맞이할 수 있다 하겠으나, 돈을 바쳐 속죄하고 돌아와서는 천자(天子)의 귀함을 잃지 않았으니, 이것이야말로 부처에게 아첨한다기보다 사실은 부처를 속이는 것이라 하겠다.


또 그 비단의 무늬는 실물이 아닌 데도, 오히려 차마 해치지 못하면서, 저 어리석은 백성의 목숨을 어찌 조수(鳥獸)에 비교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런데도 해마다 정벌하여 죽인 사람의 수가 헤아릴 수 없이 많고, 산을 만들고 둑을 쌓아 적의 지경(地境)으로 물을 대어 수만 명의 적군을 물고기로 만들면서도 조금도 불쌍히 여기지 않았으니, 이것은 비록 조그마한 인(仁)의 이름은 있으나 실은 크게 불인(不仁)한 것이다.


또 나라가 존립(存立)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강(綱)과 상(常)인데 무제(武帝)는 여러 아들에게 변방을 다 맡기면서 예의(禮儀)를 가르침이 없었으므로, 정덕(正德)은 효경(梟?)의 자질로 처음에는 아버지를 버리고 적국으로 달아났다가 마침내는 적병을 이끌고 들어와 국가를 전복시켰으며, 윤(綸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이나 역(繹 무제(武帝)의 일곱째 아들 양원제(梁元帝))은 흑은 큰 군사를 거느리고 있었거나, 혹은 상유(上游)에 진(陣)을 치고 있었는데, 군부(君父)가 난을 당하고 있었건만 ‘피를 뿌리고 분연히 싸울 뜻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으며, 또한 형제끼리 서로 원수가 되고, 숙질 사이에 서로 싸워 인륜의 악이 극에 이르렀으니, 이것은 다름아니라 무제(武帝)의 배운 바가 석씨(釋氏)였기 때문이다.


천륜(天倫)을 가합(假合)이라고 하기 때문에 신하는 그 임금을 임금으로 여기지 않고, 아들은 그 아버지를 아버지로 여기지 않아, 30~40년 동안에 풍속은 모두 무너지고 강상(綱常)은 땅에 떨어졌으니 이같이 극에 이르게 된 것은 당연하다.


그로 하여금 요(堯)?순(舜)?삼왕(三王 하(夏) 나라 우(禹)와, 은 나라 탕(湯)과 주(周) 나라 문왕(文王)?무왕(武王)을 말함.)을 스승으로 삼아 방외(方外)의 교(敎)를 섞지 않음은 물론, 반드시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삼고, 반드시 예법을 숭상하고, 반드시 형정(刑政)을 밝히게 했다면 어찌 이같음이 있으랴?“
하였다.


@     천도를 버리고 불과를 말함 舍天道而談佛果
당 대종(唐代宗)이 처음에는 그다지 부처를 중히 여기지 않았는데, 재상인 원 재(元載)와 왕 진(王縉)이 다 부처를 좋아했고 그 중에도 왕 진이 특히 심하였다. 임금이 일찍이 묻기를,
“부처가 보응(報應)을 말했다는데 과연 있느냐?”
하였다. 원 재(元載) 등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국가의 운수가 장구한 것은 일찍이 복업(福業)을 심은 것이 아니면 무엇을 가지고 이르게 하겠습니까? 복업이 이미 정해지면 비록 때때로 작은 재앙이 있다 하더라도 마침내 해(害)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안 녹산(安祿山 당 현종(唐玄宗)때의 무장(武裝))?사 사명(史思明 당(唐) 영이주(寧夷州)의 돌궐(突厥)사람)은 다 그 자식에게 죽음을 당했고, 회은(懷恩 처음에는 공신이었으나 뒤에 회흘?토번을 꾀어 빈하였다가 병사함)은 군문을 나와 병들어 죽었고, 회흘(回紇)?토번(吐蕃) 두 오랑캐는 싸우지 않고 저절로 물러갔으니, 이것은 다 사람의 힘으로 미칠 바가 아니오니, 어찌 보응이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임금이 이로 인하여 부처를 깊이 믿어 항상 궁중에서 중 1백여 명에게 밥을 먹여 주었으며, 도둑이 이르면 중으로 하여금「인왕경」(仁王經 법화경(法華經)?금광명경(金光明經)과 같이 호국한 3부경(三部經)의 하나.)을 강(講)하여 물리치게 하고 도둑이 물러가면 후하게 상을 주니, 좋은 전답(田畓)과 많은 이익이 중 또는 절에로 돌아갔다. 그리고 원 재(元載) 등이 임금을 모시고 부처의 일을 많이 말하니 정사와 형벌이 점점 문란하여졌다.


진 서산(眞西山)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종(代宗)이 보응에 대하여 물었는데, 이 때에 유자(儒者)를 정승의 자리에 두었더라면 반드시 ‘선하면 복을 받고 악하면 화(禍)를 받으며, 차〔盈〕면 이지러지고 겸손〔謙〕하면 더함을 받는다.’는 그런 이치를 되풀이해 아뢰어 임금으로 하여금 늠연(凜然)히 천도(天道)는 속일 수 없는 것임을 알아 덕을 닦는 데 스스로 힘쓰게 하였을 것인데, 원 재(元載) 등은 일찍이 한 마디도 이에 언급한 바 없고 당초부터 복업을 심는 것으로 말하여, 국가의 운수가 장구(長久)한 것은 모두 부처의 힘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너무나 천도(天道)를 속인 것이 아니겠는가?


저 당 나라가 오랜 연대를 지나온 것은 태종(太宗)이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 공임은 숨길 수 없는 것이요, 환란이 많았던 이유는 천하를 얻을 때 인의(仁義)와 강상(綱常)에 순수(純粹)하지 못했고 예법(禮法)으로 보아서 부끄러워할 만한 일이 있었으며, 세대를 이은 임금들 중에는 사욕을 이겨내고 선을 힘쓴 자가 적은 반면, 정(情)대로 방자하여 이치(理)에 어긋난〔悖〕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늘에는 떳떳한 도〔顯道〕가 있어 그 유(類)에 따라 나타낸다.’는 말이 이것을 이름이다. 원 재(元載) 등이 천도(天道)를 버리고 부처의 인과설을 말하여 재앙(災殃)이나 상서(祥瑞)를 내리는 것은 하늘에 있지 않고 부처에 있으며, 다스리는 도(道)는 덕(德)을 닦는 데 있지 않고 부처를 받드는 데 있다고 하니, 대종(代宗)이 오직 배우지 못했으므로 원 재(元載) 등이 미혹시킬 수 있었다.


또 저 안 녹산(安祿山)?사 사명(史思明)의 난은 양 태진(楊太眞 양귀비)이 안에서 좀 먹고, 양 국충(楊國忠)?이 임보(李林甫)가 밖에서 화를 빚어서 일어난 것이요, 그 난을 능히 평정한 것은 곽 자의(郭子儀)?이 광필(李光弼) 등 여러 사람이 제실(帝室)에 충성을 다하여 물리쳤기 때문이요, 그들이 다 자식에게 화를 당하였다고 하는 것은 안 녹산?사 사명 자신이 신하로써 임금에게 반역하였기에 그의 아들인 안 경서(安慶緖)?사 조의(史朝義)가 그의 아버지를 시역한 것이니, 이것은 천도(天道)가 그 유(類)에 따라서 응(應)하는 까닭이다. 또 회흘(回紇)?토번(吐蕃)이 싸우지 않고 스스로 물러간 것은 또한 곽자의(郭子儀)가 몸소 오랑캐의 앞에 나가가서 꾀를 부려 반간(反間)한 덕택이니, 그 본말(本末)을 미루어 보면 모두 사람의 일에 말미암은 것인데, 원 재(元載)등은 ‘이것은 사람의 힘으로 미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니 그 속이고 또 속임이 더욱더 심하지 않은가?“


------------------------

 

불씨잡변[佛氏雜辨]-17 @     천도를 버리고 불과를 말함 舍天道而談佛果


 

당 대종(唐代宗)이 처음에는 그다지 부처를 중히 여기지 않았는데, 재상인 원 재(元載)와 왕 진(王縉)이 다 부처를 좋아했고 그 중에도 왕 진이 특히 심하였다. 임금이 일찍이 묻기를,
“부처가 보응(報應)을 말했다는데 과연 있느냐?”
하였다. 원 재(元載) 등이 대답하여 말하기를,
“국가의 운수가 장구한 것은 일찍이 복업(福業)을 심은 것이 아니면 무엇을 가지고 이르게 하겠습니까? 복업이 이미 정해지면 비록 때때로 작은 재앙이 있다 하더라도 마침내 해(害)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안 녹산(安祿山 당 현종(唐玄宗)때의 무장(武裝))?사 사명(史思明 당(唐) 영이주(寧夷州)의 돌궐(突厥)사람)은 다 그 자식에게 죽음을 당했고, 회은(懷恩 처음에는 공신이었으나 뒤에 회흘?토번을 꾀어 빈하였다가 병사함)은 군문을 나와 병들어 죽었고, 회흘(回紇)?토번(吐蕃) 두 오랑캐는 싸우지 않고 저절로 물러갔으니, 이것은 다 사람의 힘으로 미칠 바가 아니오니, 어찌 보응이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임금이 이로 인하여 부처를 깊이 믿어 항상 궁중에서 중 1백여 명에게 밥을 먹여 주었으며, 도둑이 이르면 중으로 하여금「인왕경」(仁王經 법화경(法華經)?금광명경(金光明經)과 같이 호국한 3부경(三部經)의 하나.)을 강(講)하여 물리치게 하고 도둑이 물러가면 후하게 상을 주니, 좋은 전답(田畓)과 많은 이익이 중 또는 절에로 돌아갔다. 그리고 원 재(元載) 등이 임금을 모시고 부처의 일을 많이 말하니 정사와 형벌이 점점 문란하여졌다.


진 서산(眞西山)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대종(代宗)이 보응에 대하여 물었는데, 이 때에 유자(儒者)를 정승의 자리에 두었더라면 반드시 ‘선하면 복을 받고 악하면 화(禍)를 받으며, 차〔盈〕면 이지러지고 겸손〔謙〕하면 더함을 받는다.’는 그런 이치를 되풀이해 아뢰어 임금으로 하여금 늠연(凜然)히 천도(天道)는 속일 수 없는 것임을 알아 덕을 닦는 데 스스로 힘쓰게 하였을 것인데, 원 재(元載) 등은 일찍이 한 마디도 이에 언급한 바 없고 당초부터 복업을 심는 것으로 말하여, 국가의 운수가 장구(長久)한 것은 모두 부처의 힘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너무나 천도(天道)를 속인 것이 아니겠는가?


저 당 나라가 오랜 연대를 지나온 것은 태종(太宗)이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 공임은 숨길 수 없는 것이요, 환란이 많았던 이유는 천하를 얻을 때 인의(仁義)와 강상(綱常)에 순수(純粹)하지 못했고 예법(禮法)으로 보아서 부끄러워할 만한 일이 있었으며, 세대를 이은 임금들 중에는 사욕을 이겨내고 선을 힘쓴 자가 적은 반면, 정(情)대로 방자하여 이치(理)에 어긋난〔悖〕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늘에는 떳떳한 도〔顯道〕가 있어 그 유(類)에 따라 나타낸다.’는 말이 이것을 이름이다. 원 재(元載) 등이 천도(天道)를 버리고 부처의 인과설을 말하여 재앙(災殃)이나 상서(祥瑞)를 내리는 것은 하늘에 있지 않고 부처에 있으며, 다스리는 도(道)는 덕(德)을 닦는 데 있지 않고 부처를 받드는 데 있다고 하니, 대종(代宗)이 오직 배우지 못했으므로 원 재(元載) 등이 미혹시킬 수 있었다.


또 저 안 녹산(安祿山)?사 사명(史思明)의 난은 양 태진(楊太眞 양귀비)이 안에서 좀 먹고, 양 국충(楊國忠)?이 임보(李林甫)가 밖에서 화를 빚어서 일어난 것이요, 그 난을 능히 평정한 것은 곽 자의(郭子儀)?이 광필(李光弼) 등 여러 사람이 제실(帝室)에 충성을 다하여 물리쳤기 때문이요, 그들이 다 자식에게 화를 당하였다고 하는 것은 안 녹산?사 사명 자신이 신하로써 임금에게 반역하였기에 그의 아들인 안 경서(安慶緖)?사 조의(史朝義)가 그의 아버지를 시역한 것이니, 이것은 천도(天道)가 그 유(類)에 따라서 응(應)하는 까닭이다. 또 회흘(回紇)?토번(吐蕃)이 싸우지 않고 스스로 물러간 것은 또한 곽자의(郭子儀)가 몸소 오랑캐의 앞에 나가가서 꾀를 부려 반간(反間)한 덕택이니, 그 본말(本末)을 미루어 보면 모두 사람의 일에 말미암은 것인데, 원 재(元載)등은 ‘이것은 사람의 힘으로 미칠 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니 그 속이고 또 속임이 더욱더 심하지 않은가?“
----------------------------


불씨잡변[佛氏雜辨]-18 @     부처 섬기기를 극진히 할수록 연대는 더욱 단축되었다 事佛甚謹年代犬促


원화(元和 당 헌종 唐憲宗) 14년에 불골(佛骨)을 경사(京師)에 맞아 들여왔는데, 이보다 먼저 공덕사(功德使)가 아뢰기를,
“봉상사(鳳翔寺) 탑에 부처의 지골(指骨)이 있어 전하여 오는데, 30년만에 한 번씩 탑문(塔門)을 열며, 탑문을 열면 그 해에는 풍년이 들며 백성들이 편안하게 지낸다고 합니다. 내년에 응당 탑문을 열 것이니 청컨대 맞이하여 오소서.”
하였으니, 이에 임금이 그 말을 따랐다.
이 불골(佛骨)이 경사(京師)에 이르렀을 때 궁중에 3일 동안을 두었다가 여러 절을 거쳐가는데 왕공(王公)들과 사민(士民)들이 쳐다보며 받들어 시주하기를 남보다 뒤질까봐 두려워할 정도이었다.
형부 시랑(形部侍郞) 한 유(韓愈 자(字)는 퇴지(退之)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가 표(表)를 올려 간(諫)하여 말하기를,
“부처라는 것은 이적(夷狄)의 한 법일 뿐입니다. 황제(黃帝)로부터 우(禹)?탕(湯)?문무(文武)에 이르기까지 모두 장수(長壽)하였고, 백성들도 안락(安樂)하게 지냈는데, 그때에는 부처가 있지 않았습니다.


한 명제(漢明帝) 때에 비로소 불법(佛法)이 들어왔는데, 그 후부터 어지럽고 망함이 서로 계속되어 나라의 운수(運數)가 길지 못하여, 송(宋)?제(齊)?양(梁)?진(陳)?원(元)?위(魏) 등의 나라 이후에는 부처 섬기기를 점점 정성스럽게 하였는데, 나라의 연대(年代)는 더욱 단촉(短促)되어졌습니다.


오직 양 무제(梁武帝)가 48년 동안 제위(帝位)에 있으면서 전후 세 차례나 몸을 부처에게 희사(喜捨)하였으나, 마침내는 후경(侯景)의 핍박을 받아 대성(臺城)에서 굶어 죽었으니, 부처를 섬겨 복을 구하다가 도리어 화를 얻었습니다. 이로써 미루어 본다면 부처를 믿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부처는 본시 이적(夷狄)의 사람이어서, 중국과는 언어도 통하지 않고, 의복 제도도 다르며 군신(君臣)?부자(父子)의 정도 알지 못하니, 가령 그의 몸이 아직 살아 있어서 경사(京師)에 들어와 조현(朝見)을 한다 할지라도 폐하께서는 그를 받아들이되 그저 선정전(宣政殿)에서 한번 보고 손〔賓〕으로 대접하는 예를 한 번 베풀고, 옷이나 한 벌주어서 호위해 내 보내는데 지나지 않을 것이며, 여러 사람들을 미혹(迷惑)되게 해서는 안 될 것인데, 하물며 그의 몸이 죽은 지 이미 오래 되었거늘 말라빠진 뼈를 어찌 궁중에 들어오게 할 수 있겠습니까? 비옵건데 유사(有司)에게 맡기시어 물에나 불에 먼저 버려 화(禍)의 근본을 영원히 끊어 버리소서.“
하였다. 이에 임금(당 헌종唐憲宗)이 크게 노하여 장차 극형을 가하려고 하였으나 재상(宰相)인 배 도(裵度)와 최 군(崔群) 등이 말하기를,
“한 유가 비록 지나치긴 했으나 충성에서 나온 말이니 마땅히 너그럽게 용서하여 주셔서 언로(言路)를 열어 주시옵소서.”
하니, 이에 조주 자사(潮州刺史)로 좌천시켰다.


진 서산(眞西山)이 말하기를,
“상고하건대 후세의 임금들이 부처를 섬긴 것은 대저 복전(福田 부처의 법력(法力))에 대한 이익을 구하는 것이니, 이를테면 이익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한 유가 간하여 ‘옛날 제왕(帝王) 때에는 부처가 있지 않아도 장수(長壽)를 하였는데 후세의 임금들은 부처를 섬기는데도 일찍 죽는다.’고 진술하였으니, 깊고도 간절하게 나타낸 말이라 하겠거늘, 그런데도 헌종(憲宗)은 깨닫지 못한 채 바야흐로 이때 금단(金丹) 약을 먹고 또 불골(佛骨)을 맞이하였습니다. 신선을 구하고 부처에게 아첨하는 두 가지를 다하였으나 1년이 못되어 효과가 그리하였으니, 복전의 보응이 과연 어디에 있다 하겠습니까? 신(臣)이 이 때문에 이 사실을 모두 아울러 임금된 사람으로서 신선(神仙)이나 부처에게 빠지는 것을 경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하였다.
-----------------------

 

불씨잡변[佛氏雜辨]-19 @     이단을 물리치는 데 관한 변 闢異端之辨


 

요순(堯舜)이 사흉(四凶 요순 때에 죄를 지은 4명의 악한 즉 공공(共工)?환도(驩兜)?삼묘(三苗)?곤(?))을 벤 것은 그들이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은 좋게 꾸미면서 명령을 거스르고 종족을 무너뜨리기 때문이었다. 우(禹)도 또한 말하기를,
“……말을 교묘하게 하며 얼굴빛을 좋게 꾸미는 자를 어찌 두려워하랴?”
하였으니, 대개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꾸미는 것은 사람의 본심을 잃게 하며, 명령을 어기고 종족을 무너뜨리는 것은 사람의 일을 망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이 제거하여 용납하지 않았던 것이다.
탕(湯 은(殷) 왕조의 시조(始祖)다)과 무왕(武王 은(殷)왕조를 무너뜨리고 주(周)왕조를 세운 임금)이 걸(桀 하(夏) 왕조 최후의 임금?폭군)?주(紂 은(殷)왕조의 최후의 임금?폭군)를 쳐부술 때 탕(湯)은 말하기를,
“나는 상제(上帝)가 두려워 감히 치지 않을 수 없다.”
하고, 무왕(武王)은 말하기를,
“내가 하늘에 순종치 않으면 그 죄가 주(紂)와 같다.”
고 하였으니, 하늘의 명령과 하늘의 토벌은 자기가 사야할 수 없는 것이라는 뜻이다. 공자도 말씀하기를,
“이단을 깊이 파고들면 해로울 뿐이다.”
라고 하였으니, 해롭다는 한 글자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오싹하게 한다.


맹자(孟子)가 호변(好辯)으로 양묵(楊墨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을 막은 까닭은 양묵의 도(道)를 막지 않으면 성인(聖人)의 도를 행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맹자는 양묵을 물리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삼았다. 그의 말에 이르기를,
“능히 양묵을 막을 것을 말하는 사람은 성인의 무리이다.”
고 하면서까지, 그는 사람들이 동조해 주기를 바란 것이 지극하였다. 묵씨(墨氏)는 똑같이 사랑한다〔兼愛〕하니, 인(仁)인가 의심되고, 양씨(楊氏)는 자기만을 위한다〔爲我〕하니, 의(義)인가 의심되어 그의 해(害)가 아버지도 없고 임금도 없는 데까지 이르므로 맹자가 이를 물리치고자 힘썼던 것이다.
그런데 불씨(佛氏)의 경우는 그 말이 고상하고 미묘하여 성명(性命)?도덕(道德) 가운데에 출입함으로써 사람을 미혹(迷惑)시킴이 양묵보다 더 심하였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불씨(佛氏)의 말이 더욱 이치〔理〕에 가까워서 진(眞)을 크게 어지럽힌다.”
고 하였으니, 이것을 이른 것이다.
내 어둡고 용렬하면서도 힘이 부족함을 알지 못하고, 이단을 물리치는 것으로 나의 임무로 삼은 것은 앞서 열거한 여섯 성인과 한 현인의 마음을 계승하고자 함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이 이단의 설에 미혹되어 모두 빠져 버려 사람의 도가 없어지는 데 이를까 두려워하는 까닭이다.


아아! 난신(亂臣) 적자(賊子)는 사람마다 잡아 죽일 수 있으니, 반드시 사사(士師 형벌을 다스리는 관리)를 기다릴 필요가 없는 것이며, 사특한 말이 횡류(橫流)하여 사람의 마음을 무너뜨리면 사람마다 물리칠 수 있으니 반드시 성현을 기다리리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것은 내가 여러 사람에게 바라는 바이며 아울러 내 스스로 힘쓰는 것이다.


도전(道傳)이 틈을 내어「불씨잡변」(佛氏雜辨) 15편과「전대사실」(前代事實) 4편을 지었는데 이미 이루어짐에 객(客)이 읽고 말하기를,
“자네가 불씨(佛氏)의 윤회설을 변정(辨正)하는 데 있어 만물이 생생(生生)하는 이치를 인용하여 밝혔는데 그 말이 근사하긴 하나, 불씨의 설에 이르기를,
‘만물 중에 무정물(無情物)은 법계성(法界性)으로부터 왔고, 유정물(有情物)은 여래장(如來藏 진여(眞如)에 섭수(攝受;마음을 관대히 먹어 받아들임)된다는 것)으로부터 왔다.’


【안】무정물이란 바위들이나, 풀?나무와 같은 것이고, 법계란 무변(無邊)이라는 말과 같으며, 유정물이란 본각(本覺)인 중생심(衆生心)과 모든 불성(佛性)이 본래 여래와 같다는 말이다.
고 하였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대개 혈기(血氣)가 있는 물(物)은 다같이 지각(知覺)이 있고 지각이 있는 물(物)은 다같이 불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제 자네는 물(物)의 정(情)이 있고 없음을 논하지 않고, 같은 격으로 동일하게 말하니, 헛되이 말만 소비하고 천착(穿鑿)하고 부회(附會)하는 병을 면할 수 없지 않은가?“
하였다. 이에 대답하여,
“아아! 이것이 바로 맹자의 말처럼 근본(根本)이 두 개이기 때문이다. 또 여기에 기(氣)가 천지 사이에 있는 것은 본시 하나일 뿐인데, 동(動)과 정(靜)이 있어서 음(陰)과 양(陽)이 나누어지고, 변(變)과 합(合)이 있어 오행(五行)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주자(周子 이름은 돈이(敦?)호는 염계(濂溪))가 말하기를 ‘오행(五行)은 하나의 음양이요, 음양은 하나의 태극이다.’ 라고 하였다.
대개 동하고 정하고 변하고 합하는 사이에, 그 유행하는 것은 통(通)과 색(塞)과 편(偏)과 정(正)의 다름이 있으니, 그 통함과 정을 얻은 것은 사람이 되고, 그 편과 색을 얻은 것은 물(物)이 되며, 또 편과 색 가운데서도 그 조금 통한 것을 얻은 것은 금수(禽獸)가 되고, 전연 통이 없는 것은 초목이 되나니, 이것이 바로 물(物)이 정(情)이 있고 없는 것으로 나누어진 까닭이다.


주자(周子)가 말하기를 ‘동(動)하되 동함이 없고, 정(靜)하되 정함이 없는 것은 신(神)이니 그 기(氣)가 통하지 않음이 없으므로 신(神)이라 하는 것이요, 동하면 정함이 없고, 정하면 동함이 없는 것은 물(物)이니 형(形)과 기(氣)에 국한되어 서로 통할 수 없으므로 물(物)이라 하는 것이다.’ 하였다.
대개 동하여 정함이 없는 것은 유정물이라 이름이요, 정하여 동함이 없는 것은 무정물이라 이름이니, 이 또한 물의 정(情)이 있고 없음이 다 이 기(氣) 가운데에서 생기는 것이니, 어찌 둘이라고 할 수 있으랴?
또 사람의 한 몸에도 혼백(魂魄)이나 오장(五臟)이나 귀?눈?입?코?손?발 등속과 같은 것은 지각(知覺)과 운동이 있고, 모발?손톱?이〔齒〕등속은 지각도 운동이 없으니, 그러면 한 몸 가운데에도 또한 정(情)이 있는 부모로부터 온 것과, 정이 없는 부모로부터 온 것이 있으니, 부모가 둘이 있단 말인가?“
하였다. 객(客)이 다시 말하기를,


“자네의 말이 옳기는 하지만, 그러나 여러 가지로 변론한 설이 성명(性命) 도덕(道德)의 묘(妙)와 음양(陰陽) 조화(造化)의 미(微)한 데에 출입하여, 진실로 처음 배우는 선비들도 알지 못할 바가 있는데, 하물며 어리석고 용렬한 아래백성들이랴? 자네 말이 비록 정묘(精妙)하긴 하나, 한갓 호변(好辯)한다는 비방(誹謗)이나 얻을 뿐, 저쪽이나 이쪽의 학문에 함께 손(損)도 익(益)도 없을까봐 나는 염려하며 또 불씨(佛氏)의 설이 비록 황당무계(荒唐無稽)하나, 세속의 이목에 익숙하여 빈 말로는 타파(打破)할 수 없을까봐 염려된다. 하물며 그들의 이른바 방광(放光)의 상서(祥瑞)나 사리(舍利)로써 여러 몸으로 화생한다는 이적(異跡)이 이따금 있음에랴? 이것이 세속에서 감탄하고 이상히 여겨 믿고 복종하는 까닭이다. 자네는 아직도 공박(攻駁)할 말이 있느냐?”
하였다. 다시 대답하여,


“이른바 윤회(輪廻) 등의 변론은 내 이미 다 논(論)하였다. 비록 그 폐(蔽)가 깊어서 갑자기 깨닫게 할 수는 없겠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한두 사람의 선비라도 내 말로 인하여 돌이켜 구한다는 것의 얼음이 있을 것이니, 이에 다시 덧붙여 말하지 않는다.


방광(放光)이나 사리(舍利)의 일에 대해서 어찌 그 말이 없겠는가마는, 그 보다도 이 마음이라는 것은 가장 정(精)하고도 가장 영(靈)한 것인데, 저 불씨(佛氏)의 무리들은 생각의 선?악?사?정(善惡邪正)을 논하지 않은 채, 한겹을 깎아 버리고 또 한겹을 깎아 내려 한결같이 수렴(收斂)하니, 대개 마음이란 본래 광명하거니와 정일하기로도 또 이같은지라, 가운데에 쌓아 밖으로 말하는 것 역시 이세(理勢)의 당연한 것이다. 부처의 방광(放光)하는 것이 어찌 족히 괴이(怪異)하랴?


또 하늘이 이 마음을 내어 주심에 그 지극히 신령하고 지극히 밝음으로써 한 몸 가운데의 주인이 되어 여러 이치의 묘(妙)로써 만물의 주재(主宰)케 한 것이요, 아무런 쓸곳 없이 한갓 만물의 영장만으로 만들어 낸 것은 아니다. 마치 하늘이 불을 만든 것은 본시 사람을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인데, 이제 어떤 사람이 불을 재 속에 파묻어, 추운 사람은 따뜻함을 얻지 못하고, 배고픈 사람은 밥을 지을 수 없다면, 비록 불의 열기가 있다 하더라도 재 속에서 발한 것이니, 마침내 무슨 이익이 있으랴? 부처의 방광을 내가 취하지 않는 까닭이 이것이다. 또 불이란 물건은 쓸수록 새로운 것이어서 항상 보존해야 꺼리지 않거늘, 만일 재 속에 파묻어 두기만 하고 때때로 꺼내 보지 않는다면, 처음에 비록 잘 피던 불이라도 마침내 재가되어 꺼지고야 말 것이다.


사람의 마음도 이와 같이, 항상 애쓰고 조심하고 염려하는 생각을 간직함으로써 마음의 작용이 죽지 않고 의리(義理)가 생길 수 있는 것인데, 만일 한결같이 수렴(收斂)하여 속에만 둔다면 비록 생동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마르고 사라지고야 말 것이다. 그 이른바 광명한 것이 혼매(昏昧)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리니, 이 또한 알아두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 형상을 나타내는 데에도 역시 방광(放光)이 있다는 것은, 대개 썩은 풀이나 나무에도 야광(夜光)의 비침이 있거늘 하필 이것만을 의심할건가?
대저 사람에게 사리(舍利)가 있다는 것은 이무기〔??〕나 조개〔?蛤〕에 구슬〔珠〕이 있는 것과 같은지라, 개중에는 이른바 선지식(善知識)이라는 사람도 사리(舍利)가 없는 이가 있으니, 이것은 바로 이무기나 조개에도 구슬이 없는 것과 같은 유(類)이다.


세상에 전하기를 ‘사람이 조개에 있는 구슬을 뚫지도 않고 찌지도 않고 그대로 오래두었다가 꺼내보면 여러 개가 더 생긴다.’고 하니, 이것은 생의(生意)가 있는 곳에 자연히 불어나는 이치이다. 사리가 여러 몸으로 나눠지는 것도 이와 같을 뿐이다. 만일에 ‘부처에게 지극한 영(靈)이 있어, 사람의 정성에 감동되어 사리가 나누어진다.’고 한다면 석씨의 무리들이 그 스승의 모발(毛髮)이나 이〔齒〕, 뼈〔骨〕따위를 간직할 자가 많이 있을 텐데 어찌 정성껏 그런 물건을 나눠 가질 것을 빌어 청하지 않고 하필이면 사리에서만 몸이 나눠짐을 말했는가? 이것이 곧 물성(物性)이 아니고 무엇이랴?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사리라는 것은 매우 견고한 것이어서 비록 쇠방망이로 쳐도 깨뜨릴 수 없으니 그것이 신령하기 때문이다.’고 한다. 그러나 영양각(羚羊角)을 얻어 한 번만 쳐부수면 가루가 될 것이니 어찌 사리가 쇠에는 신령스러우면서 영양각에는 신령스럽지 못해서 그렇겠는가? 이것은 진실로 물성(物性)이 그렇게 된 것이니 괴이할 것이 없는 것이다.


이제 두 개의 나무를 서로 비비거나 쇠와 돌을 쳐서 불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사람의 힘으로 하는 것에 불과하다. 화정(火精)의 구슬을 햇빛에 향하고서 애주(艾炷 쑥으로 만든 심지)에 비치면 훈연(熏然)히 연기가 나면서 활활 불이 피어나니, 이것은 참으로 사람의 힘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반짝반짝 조금씩 피지만 마침내는 활활 피어올라 곤륜산(崑崙山)을 불사르고 옥석(玉石)도 태울 수 있으니 뭐가 그리 신기로운가? 이것도 그 물성(物性)이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고 어떤 신령스러운 물건이 까마득한 속에 붙어 있다가 사람의 정성에 감동되어 그렇게 하는 것이겠는가?


또 불이 사람에게 유익한 것은 크다. 음식을 익히면 굳은 것도 부드러워지고 온돌에 불을 피우면 찬 것이 따뜻해지고, 약물(藥物)을 끓이면 생것이 익으니 배고픈 것을 배부르게 하고 병든 것을 고칠 수 있으며, 쇠를 녹여 쟁기〔?〕를 만들고 도끼〔斧〕를 만들며, 가마솥〔釜鼎〕을 만들어 백성들이 쓰는 데 이롭게 하고, 칼과 창과 검극(劍戟)을 만들어 군대가 쓰는데 위엄있게 하니, 불의 생김이 신묘(神妙)하기가 저 같으며, 불의 요도의 유익(有益)함이 이 같은데, 그대는 모두 중하게 여기지 않는구나. 저 사리라는 것은 추워도 옷이 될 수 없고, 배고파도 먹을 수 없으며, 싸우는 사람이 병기로 삼을 수도 없으며, 병든 사람이 탕약(湯藥)으로 삼을 수도 없으니, 부처의 신령(神靈)함이 있어 한 번 빌어 수천 개를 만들게 한다 하더라도 오히려 유익됨이 없이 인사(人事)만 폐할 뿐이니, 모두 불이나 물에 던져버려 영원히 근본을 끊어버려야 할 것인데 하물며 다시 공경하게 받들어 귀의(歸依)하랴?


아아! 세상 사람들이 떳떳한 것을 싫어하고 괴이한 것을 좋아하며, 실리(實利)는 버리고 헛된 법을 숭상하기가 이 같으니 한탄스럽지 아니한가?“ 하니 객(客)이 문득 절을 하면서 말하기를,
“이제 그대의 말을 듣고, 비로소 유자(儒者)의 말이 바르고 불씨(佛氏)의 말이 그릇됨을 알겠으니, 그대의 말씀은 양 웅(楊雄)도 못 따르겠다.”
하였다.


이에 책 끝에 이 문답까지 적어서 하나의 논설을 갖춰 두는 바이다.
내 일찍이 불씨(佛氏)의 설이 세상을 매우 미혹(迷惑)시키는 것을 근심하여 말하기를,
“하늘이 하늘노릇을 하고 사람이 사람노릇을 하는 데에 있어서 유교와 불교의 설이 서로 같지 않다. 역상(曆象)이 있은 뒤로부터 한?서(寒暑)의 왕래와 일월(日月)의 영휴(盈虧)에는 모두 그 일정한 수(數)가 있어 천만 년을 써도 어긋남이 없는 것은, 하늘이 하늘노릇을 하는 데 정하여진 것이니 불씨의 그 수다하고 고상한 말〔須彌說〕들이 다 거짓이다. 하늘이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만물을 화생(化生)시키는데, 이른바 음양 오행이라는 것은 이(理)도 있고 기(氣)도 있으니, 그 온전한 것을 얻은 것은 사람이 되고, 치우친 것을 얻은 것은 물(物)이 된다. 그러므로 오행의 이치가 사람에게 있어서는 오상(五常)의 성(性)이 되고 그 기(氣)는 오장(五臟)이 되니, 이것이 우리 유가의 설이다.


의원(醫員)이 오행으로써 장맥(臟脈)의 허(虛)와 실(實)을 진찰하여 그 병을 알고, 점치는 사람도 오행으로써 그 운기(運氣)의 쇠퇴하고 왕성함을 미루어 그 명(命)을 알고, 또 천만 년을 써도 다 증험할 수 있는 것이니, 이것은 사람이 사람노릇을 하는 데 정해진 것이다. 그러므로 불씨의 사대설(四大說)은 허망(虛妄)한 것이다. 그 시(始)를 따져 원(原 추구(推究))하여 사람의 태어난 까닭을 알지 못한다면 그 종(終)에 가서 사람의 죽는 까닭을 어찌 알리요? 그러므로 윤회설(輪廻說) 또한 족히 믿을 수 없는 것이니, 내 이러한 이론을 가진 지 오래다.“
하였다.


이제 삼봉(三峯)선생의「불씨잡변」(佛氏雜辨) 20편을 보니 그 윤회설(輪廻說)과 오행(五行)에 대한 의?복(醫卜)의 변론이 가장 명백하게 갖추어졌으며, 그 나머지 변론도 극히 자세하며 절실하고 명백하여 다시 남는 것이 없었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글을 읽어 이치를 밝히고, 개연(慨然)히 배운 바를 행하되, 이단을 물리칠 뜻이 있어 강론(講論)할 때마다 순순(諄諄)히 힘써 변론함으로써 학자(學者)들도 다 흐뭇하게 청종(聽從)하였다.
일찍이 심기리(心氣理) 3편을 저술하여 우리의 도(道)가 바르고 이단(異端)으로 치우침을 밝히었으니, 그 명교(名敎 유교(儒敎)를 말함)에 공(功)이 크다. 성조(聖朝)를 만나 더욱 교화(敎化)를 경륜(經綸)하여, 일대(一代)의 다스림을 일으켰으니 배운 바의 도를 비록 다 행하지는 못하였으니, 역시 어느 정도 행했다 하겠는데, 선생의 마음으로는 오히려 모자라는 듯하여 반드시 그 임금을 요순(堯舜)같이, 그 백성을 요순 때의 백성과 같이 하고자 하였으며, 이단에 이르러서는 더욱 모두 물리쳐서 다 없애지 못함을 자기의 근심으로 삼았다.
무인년(태조 7, 1398) 여름에 병으로 며칠동안 휴가를 얻었을 때에 이 글을 저술하여 나에게 보여 주면서 말하기를,


“불씨(佛氏)의 해가 인륜(人倫)을 헐어 버린지라 앞으로는 반드시 금수(禽獸)를 몰아와서 인류를 멸하는 데까지 이를 것이니, 명교(名敎)를 주장하는 사람으로선 그들을 적으로 삼아 힘써 공격하여야 할 것이오. 일찍이 ‘내 뜻을 얻어 행하게 되면 반드시 깔끔히 물리쳐 버리겠다.’고 했었는데 이제 성상(聖上)께서 알아주심을 힘입어, 말을 하면 듣고 계획하면 따르시니 뜻을 얻었다고 하겠는데 아직도 저들을 물리치지 못하였으니, 곧 내 물리치지 못할 것만 같소. 그러므로 내가 분을 참지 못해 이 글을 지어 무궁한 후인(後人)들에게 사람마다 다 깨달을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요. 이 때문에 비유를 취한 것이 비속하고 자질구레한 것이 많으며, 저들을 함부로 덤비지 못하게 하기 위해 글을 쓰는 데 분격함이 많았소. 그러나 이것을 보면 유교와 불교의 분변을 환히 알 수 있을 것이니, 비록 당장에는 행할 수 없다 하지만 그래도 후세에 전할 수 있으니 내 죽어도 편안하오.”
하였다. 내가 받아서 읽어보니 모두가 적절한 말씀이어서 싫증이 나지 않았다. 이에 탄식하여 말하기를,

“양묵(楊墨)이 길을 막음에 맹자(孟子)가 말로써 물리쳤는데, 불법(佛法)이 중국에 들어오니 그 폐해가 양묵보도 심하였으므로, 선유(先儒)들이 이따금 그 그릇됨을 변박하였으나 책을 지을 만한 사람이 없었다. 당나라의 한 퇴지(韓退之 퇴지(退之)는 한유(韓愈)의 자(字))같은 재주로도 장 적(張籍)?황 보식(皇甫湜)의 무리들을 따라다니며 저서하기를 청했으나, 역시 감히 저서하지 못 했거늘, 하물며 그 아래사람들이랴? 이제 선생님께서 이미 힘써 변론하여 당세(當世)를 교화하였고, 또 글을 써서 후세에 전하였으니, 도(道)를 근심하는 생각이 이미 깊고도 넓다. 사람들이 불교에 미혹되는 것이 사생설(死生說)보다 더한 것이 없는데, 선생이 스스로 불교를 물리침으로써 죽어도 편안하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사람들의 그 미혹됨을 버리게 하고자 함이니, 사람들에게 보이는 뜻이 또한 깊고도 간절하도다. 맹자(孟子)는 이르기를 ‘삼성(三聖)의 계통을 잇는다.’고 하였는데, 선생은 또한 맹자를 계승한 분이로다.


장자(張子 장 재(張載)를 가리킴)의 이른바 ‘독립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정일(精一)하여 스스로 믿어 남보다 훨씬 뛰어난 재주가 있는 자’라고 한 것이 참으로 선생을 두고 이름이다. 내 참으로 공경하고 감복하여 배우고자 한다.“
하였다. 그러므로 일찍이 말한 것을 글로 써서 질정(質正)한다.


홍무(洪武 명(明) 태조의 연호) 31년 (태조 7 1398) 5월 보름에 양촌(陽村) 권 근(權近)은 서(序)로 한다.
삼봉(三峯) 선생이 지은「경국전」(經國典)과「심기리」(心氣理) 및 시문(詩文) 등은 모두 세상에 행하고 있으나, 다만 이「불씨잡변」(佛氏雜辨) 한 책은 선생이 선성(先聖)을 본받고 후세 사람을 가르친 것으로서 평생의 정력(精力)을 쏟은 것인데, 인몰(湮沒)되어 전하여지지 않으므로 식자(識者)둘이 한탄하였다.


무오년(세종 20. 1428)에 내가 생원(生員)으로 성균관(成均館)에 있을 때, 동년진사(同年進士) 한 혁(韓奕)이 선생의 족손(族孫)이었다. 집에 간직한 정리되지 않은 많은 책 가운데에서 이 글을 얻어 가지고 와서 나에게 보여 주므로, 그것을 보니 그 문사(文辭)가 호일(豪逸)하고 변론이 세미(細微)한데까지 두루 미쳤으며, 성정(性情)을 발휘(發揮)하고 허탄(虛誕)한 것을 배척하였으니, 참으로 성문(聖門)의 울타리이며 육경(六經)의 날개이다.


내 애독하여 보배로 삼아 간직한 지 오래였더니, 이제 양양(襄陽) 군수가 되어 마침 일이 없으므로 공사(公事)를 마친 여가에 잘못된 글자 30여 자를 교정하고는 공인(工人)을 시켜 간행(刊行)하여 널리 전하노니, 다행히 우리의 도(道)에 뜻이 있는 자는 이 글로 인하여 사특(邪慝)한 것을 물리치고, 이단에 미혹된 자는 이 글로 인하여 그 의심을 푼다면 선생이 이 글을 지어 후세에 전한 뜻이 거의 이루어질 것이며, 우리의 도(道) 또한 힘 입는 바 있을 것이다. 이 글이 다행히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은 어찌 우리 도(道)의 커다란 다행이 아니겠느냐?


경태(景泰 명 경종(明景宗)의 연호) 7년(세조 2 1456) 5월 중순(中旬)에 금라(金羅) 윤 기견(尹起?)이 공경하여 발문(跋文)을 짓는다.
【안】금라(金羅)는 함안군(咸安郡)의 별명(別名)이다.
=================================================================================

 

수 백년을 거론치 않던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어째서 요즘 심심찮게 떠오를까요?

원인은 부처님의 본래 뜻을 따르지 않고 가르침을 왜곡했기 때문입니다..

'도담방 > 불가의 도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법 : 청화 큰스님   (0) 2011.08.15
'미리쓰는 유서'   (0) 2010.03.14
무소유   (0) 2010.03.13
세상만사 뿌린대로 거둔다  (0) 2010.03.13
산에서 살아 보면   (0) 201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