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축문쓰는 법 유세차 OO O월 OO삭 O일OO |
||||||||||||||||||||||||||||||||||||||||||||||||||||||||||||||||||||||||||||||||||||||||||||||||||||||||||||||||||||||||||||||||||||||||||||||||||||||||||||||||||||||||||||||||||||||||||||||||||||||||||||||||||||||||||||||||||||||||||||||||||||||||||||||||||||||||||||||||||||||||||||||||||||||||||||||||||||||||||||||||||||||||||||||||||||||||||||||||||||||||||||||||||||||||||||||||||||||||||||||||||||||||||||||||||||||||||||||||||||
維歲次 간지 O月 간지朔 O日 간지 | ||||||||||||||||||||||||||||||||||||||||||||||||||||||||||||||||||||||||||||||||||||||||||||||||||||||||||||||||||||||||||||||||||||||||||||||||||||||||||||||||||||||||||||||||||||||||||||||||||||||||||||||||||||||||||||||||||||||||||||||||||||||||||||||||||||||||||||||||||||||||||||||||||||||||||||||||||||||||||||||||||||||||||||||||||||||||||||||||||||||||||||||||||||||||||||||||||||||||||||||||||||||||||||||||||||||||||||||||||||
그해의간지,제사달 첫일의일진 제사일 일진 | ||||||||||||||||||||||||||||||||||||||||||||||||||||||||||||||||||||||||||||||||||||||||||||||||||||||||||||||||||||||||||||||||||||||||||||||||||||||||||||||||||||||||||||||||||||||||||||||||||||||||||||||||||||||||||||||||||||||||||||||||||||||||||||||||||||||||||||||||||||||||||||||||||||||||||||||||||||||||||||||||||||||||||||||||||||||||||||||||||||||||||||||||||||||||||||||||||||||||||||||||||||||||||||||||||||||||||||||||||||
-해가 바뀌어 00년00월00일 | ||||||||||||||||||||||||||||||||||||||||||||||||||||||||||||||||||||||||||||||||||||||||||||||||||||||||||||||||||||||||||||||||||||||||||||||||||||||||||||||||||||||||||||||||||||||||||||||||||||||||||||||||||||||||||||||||||||||||||||||||||||||||||||||||||||||||||||||||||||||||||||||||||||||||||||||||||||||||||||||||||||||||||||||||||||||||||||||||||||||||||||||||||||||||||||||||||||||||||||||||||||||||||||||||||||||||||||||||||||
효자OO 감소고우 | (효손,효증손,효현손..) | |||||||||||||||||||||||||||||||||||||||||||||||||||||||||||||||||||||||||||||||||||||||||||||||||||||||||||||||||||||||||||||||||||||||||||||||||||||||||||||||||||||||||||||||||||||||||||||||||||||||||||||||||||||||||||||||||||||||||||||||||||||||||||||||||||||||||||||||||||||||||||||||||||||||||||||||||||||||||||||||||||||||||||||||||||||||||||||||||||||||||||||||||||||||||||||||||||||||||||||||||||||||||||||||||||||||||||||||||||
孝子OO 敢昭告于 | (孝孫,孝曾孫,孝玄孫..) | |||||||||||||||||||||||||||||||||||||||||||||||||||||||||||||||||||||||||||||||||||||||||||||||||||||||||||||||||||||||||||||||||||||||||||||||||||||||||||||||||||||||||||||||||||||||||||||||||||||||||||||||||||||||||||||||||||||||||||||||||||||||||||||||||||||||||||||||||||||||||||||||||||||||||||||||||||||||||||||||||||||||||||||||||||||||||||||||||||||||||||||||||||||||||||||||||||||||||||||||||||||||||||||||||||||||||||||||||||
-효자 00 돌아가신 아버님(현 고학생부군)께 아룁니다. | ||||||||||||||||||||||||||||||||||||||||||||||||||||||||||||||||||||||||||||||||||||||||||||||||||||||||||||||||||||||||||||||||||||||||||||||||||||||||||||||||||||||||||||||||||||||||||||||||||||||||||||||||||||||||||||||||||||||||||||||||||||||||||||||||||||||||||||||||||||||||||||||||||||||||||||||||||||||||||||||||||||||||||||||||||||||||||||||||||||||||||||||||||||||||||||||||||||||||||||||||||||||||||||||||||||||||||||||||||||
(父)현고학생부군 | (현조고,현증조고..) | |||||||||||||||||||||||||||||||||||||||||||||||||||||||||||||||||||||||||||||||||||||||||||||||||||||||||||||||||||||||||||||||||||||||||||||||||||||||||||||||||||||||||||||||||||||||||||||||||||||||||||||||||||||||||||||||||||||||||||||||||||||||||||||||||||||||||||||||||||||||||||||||||||||||||||||||||||||||||||||||||||||||||||||||||||||||||||||||||||||||||||||||||||||||||||||||||||||||||||||||||||||||||||||||||||||||||||||||||||
顯考學生府君 | (顯祖考,顯曾祖考..) | |||||||||||||||||||||||||||||||||||||||||||||||||||||||||||||||||||||||||||||||||||||||||||||||||||||||||||||||||||||||||||||||||||||||||||||||||||||||||||||||||||||||||||||||||||||||||||||||||||||||||||||||||||||||||||||||||||||||||||||||||||||||||||||||||||||||||||||||||||||||||||||||||||||||||||||||||||||||||||||||||||||||||||||||||||||||||||||||||||||||||||||||||||||||||||||||||||||||||||||||||||||||||||||||||||||||||||||||||||
(母)현비유인 OO성씨 | (현조비,현증조비..) | |||||||||||||||||||||||||||||||||||||||||||||||||||||||||||||||||||||||||||||||||||||||||||||||||||||||||||||||||||||||||||||||||||||||||||||||||||||||||||||||||||||||||||||||||||||||||||||||||||||||||||||||||||||||||||||||||||||||||||||||||||||||||||||||||||||||||||||||||||||||||||||||||||||||||||||||||||||||||||||||||||||||||||||||||||||||||||||||||||||||||||||||||||||||||||||||||||||||||||||||||||||||||||||||||||||||||||||||||||
顯 人 OO성氏 | (顯祖 , 顯曾祖 ..) | |||||||||||||||||||||||||||||||||||||||||||||||||||||||||||||||||||||||||||||||||||||||||||||||||||||||||||||||||||||||||||||||||||||||||||||||||||||||||||||||||||||||||||||||||||||||||||||||||||||||||||||||||||||||||||||||||||||||||||||||||||||||||||||||||||||||||||||||||||||||||||||||||||||||||||||||||||||||||||||||||||||||||||||||||||||||||||||||||||||||||||||||||||||||||||||||||||||||||||||||||||||||||||||||||||||||||||||||||||
세서천역 현고 휘일부임 | ||||||||||||||||||||||||||||||||||||||||||||||||||||||||||||||||||||||||||||||||||||||||||||||||||||||||||||||||||||||||||||||||||||||||||||||||||||||||||||||||||||||||||||||||||||||||||||||||||||||||||||||||||||||||||||||||||||||||||||||||||||||||||||||||||||||||||||||||||||||||||||||||||||||||||||||||||||||||||||||||||||||||||||||||||||||||||||||||||||||||||||||||||||||||||||||||||||||||||||||||||||||||||||||||||||||||||||||||||||
歲序遷易 顯考 諱日復臨 | ||||||||||||||||||||||||||||||||||||||||||||||||||||||||||||||||||||||||||||||||||||||||||||||||||||||||||||||||||||||||||||||||||||||||||||||||||||||||||||||||||||||||||||||||||||||||||||||||||||||||||||||||||||||||||||||||||||||||||||||||||||||||||||||||||||||||||||||||||||||||||||||||||||||||||||||||||||||||||||||||||||||||||||||||||||||||||||||||||||||||||||||||||||||||||||||||||||||||||||||||||||||||||||||||||||||||||||||||||||
-세월이 바뀌어 아버님 돌아가신날이 돌아오니 | ||||||||||||||||||||||||||||||||||||||||||||||||||||||||||||||||||||||||||||||||||||||||||||||||||||||||||||||||||||||||||||||||||||||||||||||||||||||||||||||||||||||||||||||||||||||||||||||||||||||||||||||||||||||||||||||||||||||||||||||||||||||||||||||||||||||||||||||||||||||||||||||||||||||||||||||||||||||||||||||||||||||||||||||||||||||||||||||||||||||||||||||||||||||||||||||||||||||||||||||||||||||||||||||||||||||||||||||||||||
추원감시 호천망극 근이 |
(조부모이상:불승영모) | |||||||||||||||||||||||||||||||||||||||||||||||||||||||||||||||||||||||||||||||||||||||||||||||||||||||||||||||||||||||||||||||||||||||||||||||||||||||||||||||||||||||||||||||||||||||||||||||||||||||||||||||||||||||||||||||||||||||||||||||||||||||||||||||||||||||||||||||||||||||||||||||||||||||||||||||||||||||||||||||||||||||||||||||||||||||||||||||||||||||||||||||||||||||||||||||||||||||||||||||||||||||||||||||||||||||||||||||||||
追遠感詩 昊天罔極 謹以 | (不勝永慕) | |||||||||||||||||||||||||||||||||||||||||||||||||||||||||||||||||||||||||||||||||||||||||||||||||||||||||||||||||||||||||||||||||||||||||||||||||||||||||||||||||||||||||||||||||||||||||||||||||||||||||||||||||||||||||||||||||||||||||||||||||||||||||||||||||||||||||||||||||||||||||||||||||||||||||||||||||||||||||||||||||||||||||||||||||||||||||||||||||||||||||||||||||||||||||||||||||||||||||||||||||||||||||||||||||||||||||||||||||||
-추모하고 애뜻한 마음을 잊지못하여 | ||||||||||||||||||||||||||||||||||||||||||||||||||||||||||||||||||||||||||||||||||||||||||||||||||||||||||||||||||||||||||||||||||||||||||||||||||||||||||||||||||||||||||||||||||||||||||||||||||||||||||||||||||||||||||||||||||||||||||||||||||||||||||||||||||||||||||||||||||||||||||||||||||||||||||||||||||||||||||||||||||||||||||||||||||||||||||||||||||||||||||||||||||||||||||||||||||||||||||||||||||||||||||||||||||||||||||||||||||||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
||||||||||||||||||||||||||||||||||||||||||||||||||||||||||||||||||||||||||||||||||||||||||||||||||||||||||||||||||||||||||||||||||||||||||||||||||||||||||||||||||||||||||||||||||||||||||||||||||||||||||||||||||||||||||||||||||||||||||||||||||||||||||||||||||||||||||||||||||||||||||||||||||||||||||||||||||||||||||||||||||||||||||||||||||||||||||||||||||||||||||||||||||||||||||||||||||||||||||||||||||||||||||||||||||||||||||||||||||||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 ||||||||||||||||||||||||||||||||||||||||||||||||||||||||||||||||||||||||||||||||||||||||||||||||||||||||||||||||||||||||||||||||||||||||||||||||||||||||||||||||||||||||||||||||||||||||||||||||||||||||||||||||||||||||||||||||||||||||||||||||||||||||||||||||||||||||||||||||||||||||||||||||||||||||||||||||||||||||||||||||||||||||||||||||||||||||||||||||||||||||||||||||||||||||||||||||||||||||||||||||||||||||||||||||||||||||||||||||||||
-맑은술과음식을 신위께 올리니 흠향하시옵소서 |
|
다른제안들..
제사상은 집안내력이나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진설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진설방법은 거의 동일하다.
병 풍
촛대 지방( 신위) 촛대
면 시저 갱 메 청(꿀) 편(병)
술잔
전(고기) 육적 소적(두부류) 어적(조기)
육탕 소탕 어탕
포 무나물 숙주나물 콩나물 청장(간장) 짐채(동치미) 식혜
조(대추) 율(밤) 시(감,곳감) 이(배) 사과 망과(포도류) 호두 다식류 유과류 당속류
향로 향합
축문 퇴주 제주
모사그릇
고서비동:남자신위는 서쪽(좌) 여자신위는 동쪽
좌면우병:좌측에 면(국수) 우측에 병(떡)을 올린다.
어동육서:동쪽에 어류 서쪽에 육류를 올린다.
좌포우혜:좌측(서)에 포 우측에 식혜를 진설
두동미서:머리는 동쪽방향 꼬리는 서쪽방향으로 올린0다.
조율시이:대추,밤,감,배 순으로 올린다.
홍동백서:나머지 계절과일은 흰색계통은 서쪽 붉은색 계통은 동쪽에 올린다.
*조율시이에 대한 다른 설:씨앗의 갯수에 따라 진설한다는 설도 있음.
씨앗이 1개인것은 왕을 상징하여 가장 첫번째에 진설하고
씨앗이3개는 3정승,6개는 육조판서,8개는 팔도관찰사를 상징한다는 설도 있다.
제사의 의미
기제사를 흔히 제사라 함. |
제사 날짜와 시간 : 고인이 돌아가신날 가장 빠른시각(밤 12시 정각이후)에 지낸다. |
*흔히 요즘은 전날 초저녁에 지내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며 차라리 |
다음날(돌아가신날)초저녁에 지내는것이 제사의 의미를 가진다. |
제사의 의미 :제사는 우리가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는 최소한의 |
성의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다하지 못한 효도의 연장이고, 우리 민족의 정신문화 |
이기도 하다. 제사는 또한 자신의 뿌리를 확인하고 생명의 근본을 깊이 새기는 의식이기도 |
한데, 그러한 의식을 통하여 조상의 축복을 기구하며, 가문의 전통과 정신을 배우는 것이다. |
아울러 같은 뿌리를 가진 친족들을 불러모아 화합과 우의를 다짐으로써 현대사회의 단절된 |
핵가족문화 폐단을 줄여주기도 한다. |
제례의식을 통해 우리 선조의 정신을 몸으로 체득하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
이것은 또한 수천년간 지속되어온 우리의 문화를 후손에게 전해주는 일이기도 하다. |
그렇기 때문에 제사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인 예속과 문화가 길이 계승되고 발전되어 |
나아가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인 것이다. |
제수에 대하여
감 :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품을 격으며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밤 :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첫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 없어져 버리지만, 밤은 땅 속의 씨밤이 생밤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자손이 수십 수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기와 연결되어 함께 이어간다는 뜻이다. 신주를 밤나무로 깍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
대추 : 대추의 특징은 한 나무에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열리며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리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제상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이다. | ||||||||||||||||||||||||||||||||||||||||||||||||||||||||||||||||||||||||||||||||||||||||||||||||||||||||||||||||||||||||||||||||||||||||||||||||||||||||||||||||||||||||||||||||||||||||||||||||||||||||||||||||||||||||||||||||||||||||||||||||||||||||||||||||||||||||||||||||||||||||||||||||||||
과일로는 복숭아, 생선으로는 치로 끝나는 생선(예 : 멸치, 갈치, 삼치 등)은 피하고, 나물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의 양념은 하지 않는다. (생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기타 양념은 무방함) | ||||||||||||||||||||||||||||||||||||||||||||||||||||||||||||||||||||||||||||||||||||||||||||||||||||||||||||||||||||||||||||||||||||||||||||||||||||||||||||||||||||||||||||||||||||||||||||||||||||||||||||||||||||||||||||||||||||||||||||||||||||||||||||||||||||||||||||||||||||||||||||||||||||
조기 : 서해안의 명물로써 진찬한다. | ||||||||||||||||||||||||||||||||||||||||||||||||||||||||||||||||||||||||||||||||||||||||||||||||||||||||||||||||||||||||||||||||||||||||||||||||||||||||||||||||||||||||||||||||||||||||||||||||||||||||||||||||||||||||||||||||||||||||||||||||||||||||||||||||||||||||||||||||||||||||||||||||||||
포(명태) : 동해안의 주요 해산물로 풍요로움을 뜻한다. | ||||||||||||||||||||||||||||||||||||||||||||||||||||||||||||||||||||||||||||||||||||||||||||||||||||||||||||||||||||||||||||||||||||||||||||||||||||||||||||||||||||||||||||||||||||||||||||||||||||||||||||||||||||||||||||||||||||||||||||||||||||||||||||||||||||||||||||||||||||||||||||||||||||
편 : 가급적 흰색의 떡을 사용하며 화려한 색상을 피한다. | ||||||||||||||||||||||||||||||||||||||||||||||||||||||||||||||||||||||||||||||||||||||||||||||||||||||||||||||||||||||||||||||||||||||||||||||||||||||||||||||||||||||||||||||||||||||||||||||||||||||||||||||||||||||||||||||||||||||||||||||||||||||||||||||||||||||||||||||||||||||||||||||||||||
주로 백설기나 껍질을 벗겨낸 팥고물을 한 시루떡을 사용한다. | ||||||||||||||||||||||||||||||||||||||||||||||||||||||||||||||||||||||||||||||||||||||||||||||||||||||||||||||||||||||||||||||||||||||||||||||||||||||||||||||||||||||||||||||||||||||||||||||||||||||||||||||||||||||||||||||||||||||||||||||||||||||||||||||||||||||||||||||||||||||||||||||||||||
*붉은색 및 복숭아 등은 예로부터 귀신을 쫒는데 사용하므로 제사에 사용치 않음.
모사그릇에 대하여..
모사 그릇(茅沙器)는 정해진 모양은 없다. 모사 그릇은 보시기나 밥그릇 같은 그릇에 모래를 곱게 체 쳐서 2/3 정도 담고 띠풀(억새)을 깨끗이 다듬어서 길이 10cm정도 길이로 잘라서 모래 가운데에 꽂은 것이다. 제사 때에 향탁 앞 아래에 놓고 제사 시작 때에 강신주(降神酒)를 붓는 그릇이다. 음양론에 따르면 사람이 태어날 때에 하늘에서 혼(魂 : 얼)을 받고 땅에서 백(魄 : 넋)을 받아 나온다고 한다. 혼은 깨닫고 생각하고 느끼는 정신적인 일을 하고 백은 팔 다리를 움직이고 내장을 움직이는 등 육체적인 일을 한다고 한다. 살아있을 때는 혼과 백은 합쳐져서 한 덩어리지만 죽으면 나뉘어서 혼은 하늘로 올라 가서 신(神)이 되고 백은 땅으로 들어가서 귀(鬼)가 되는데 제사 때는 신과 귀를 함께 모셔야 하므로 향을 피우고 모사기에 술을 붓는다. 향의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서 신을 모셔오고 술이 모사기를 통해 땅으로 들어가서 귀를 불러 온다는 것이다. 모사 그릇은 원래 정해진 모양이 없고 깨끗하고 오목한 그릇이면 된다.
※띠풀 대신 고사리도 사용
♣제례상식♣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는 사람도 있다. 지방을써서 제사후 소각을 해야한다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22cm*6cm로 한다. * 남자 지방의 경우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벼슬이 영의정 이라면 그대로 (정일품 영의정) 이라고 학생 대신에 쓰면된다 0. 부인의 경우는 보통 유인(孺人) 이라고 쓰나 이 경우는 孺人 대신 정경부인(貞敬夫人) 이라고 쓰면 된다. *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고하고 사후에는 考라고 한다 0. 여자의 경우 비 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母 라고하며 사후에는 비 라고 한다. * 여자의 경우 孺人 다음에 본관성씨를 쓴다. * 양위 지방일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 우측에 여자 지방을 쓴다. * 삼위의 경우에는 좌측에 남자지방 중앙에 본비의 지방 우측에 후처의 지방을 쓴다. 0. 사진으로 제사을 지내면 영혼이 사진에 집착하는수가 있다고 하니 지방써서 소각 해주는 것이 원칙이다 0. 제사를 모실 때 고인의 신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생전에 만들어 두었던 사진을 쓰기도 하고 지방을 쓰기도 한다. 지방은 깨끗한 한지를 품위있게 고이 접어 먹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 어떻게 써야 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지방 접는 법
규격이야 정해진 크기가 없지만 가장 보기 좋은 크기로 만들어지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만들면 된다.
1. 한지를 가로24cm, 세로34cm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자른다. [그림4]와 같이 위 아래 모두 앞쪽으로 꺾어 접는다. 지금까지 완성된 모양은 [그림5]와 같다. 뒷쪽으로 접으면 완성된 모양은 [그림7]과 같다. 상하의 접혀진 부분을 위아래로 재껴서 갓모양을 다듬으면 [그림8]과 같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문으로 지방을 쓸때에는 여러가지 규칙이 있다.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쓴다. 남자지방의 (고)는 (부)와 동일한 뜻으로 살아생전에는 부라하고 사후에는 고라한다. 여자지방의 (비)는 (모)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모라하며 사후에는 비라한다. 가운데에 본비의 지방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모시게 된다. 지방을 쓰는 각각의 문구는 다음을 클릭하여 보면 알 수 있다. 위패을 접는것이 용이하지 안으니 절에와서 배우세요..... 고조 증조 조부모 부모 백부모 현顯 고高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고高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현顯 증曾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증曾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현顯 조祖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조祖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현顯 고考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비妣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현顯 백伯 부父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백伯 모母 유孺 인人 안安 동東 권權 씨氏 신神 위位 남편 처 동생 형님 자식 현顯 벽壁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위 고故 실室 유孺 인人 경慶 주州 김金 씨氏 신神 위位 망亡 제弟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현顯 형兄 학學 생生 부府 군君 신神 위位 망亡 자子 수秀 재才 이李 길吉 동童 신神 위位 조 부 부 모 부 모 현顯 현顯 조祖 조祖 고考 비妣 동東 부釜 국國 산山 대大 은銀 학學 행行 교校 장長 교敎 김金 수授 해海 김金 씨氏 신神 신神 위位 위位 현顯 현顯 고考 비妣 병辯 국國 호護 회會 사士 의議 원員 전全 부府 주州 군君 이李 씨氏 신神 신神 위位 위位 현顯 현顯 고考 비妣 부釜 교敎 산山 사師 대大 학學 김金 교校 해海 교敎 수授 김金 씨氏 신神 신神 위位 위位 1. 한글지방쓰는법 조부모 부 모 부 모 부 모 높 높 으 으 신 신 조 할 부 머 님 님 한 양 경 대 기 학 도 교 수 도 수 지 원 사 백 씨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산 경 동 주 구 김 청 씨 장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산 경 시 주 의 김 원 씨 신 신 위 위 높 높 으 으 신 신 아 어 버 머 님 님 부 선 산 생 동 경 구 주 청 김 장 씨 신 신 위 위 2 한글 지방쓰는법 남편 부인 부 모 훌 륭 하 신 옛 남 편 홍 길 님 신 위 훌 륭 하 신 옛 부 인 김 해 김 씨 영 순 신 위 훌 륭 하 신 옛 어 버 님 안 동 김 공 신 위 훌 륭 하 신 어 머 님 해 주 오 씨 영 순 신 위 한문지방 쓰는법 고조부 고조모 증조부 증조모 조부 조모 아버님 어머님 백부 백모 남편 처 형 형수 동생 자식 제사 절차 1. 얼 모심 젯상을 다 차리고 시간이 되면 신이 강림하시라는 뜻으로 제사주인이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조금 처서 모래 담은 그릇에 붓고 두 번 절한다. 2. 일동배례 조상의 얼을 모신 다음 지금부터 제사 지내겠다는 뜻으로 참례한 모든 사람이 다함께 두 번 절한다. 3. 첫잔 올림 제사 주인이 나아가 무릎을 꿇고 첫 술잔을 올리고 그 자리에 엎드려 축읽기를 기다린다. 4. 축문 읽음 축문 읽을 사람이 제사 주인 왼편에 무릎꿇고 축문을 읽고 나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다음잔 올림 다음 술잔을 올릴 사람이 나아가 첫 술잔을 퇴주그릇에 비우고 다시 술을 쳐서 두 번째 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6. 끝잔 올림 세 번째 잔 올릴 사람이 나아가 두 번째 술잔을 퇴주그릇에 비우고 다시 술을 처서 끝잔을 올리고 두 번 절한다. 7. 술더 드림 제사 주인이 나아가 다른 잔에 술을 따라서 끝잔에다가 3번 따라서 파르르 넘치게 친다. 8. 메에 숟가락 꽂음 제사 주인이 메의 주발뚜껑을 열고 숟가락이 동쪽으로 향하게 꽂는다. 흠향 하시라는 뜻으로 다함께 잠깐 머리를 숙이고 기도한다. 9. 숭늉 올림 국 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서 숟가락으로 메를 세 번 떠서 숭늉 그릇에 놓는다. 10.일동 배례 제사를 마쳤다는 뜻으로 다함께 두 번 잘한다. 11.복을 탐 제사 주인이 술 한잔과 고기 한 점을 내려서 먹는다. 12.젯상 걷음 젯상을 거두어 음식을 골고루 나누어 먹고 지방과 축문을 사른다. *** 명절 축문.. 그러나 이왕 제사나 차례를 지내려면 반드시 축을 읽어야 할 이유가 있다. 즉 축은 누가 언제 무엇때문에 누구에게 제사를 지내는가를 말하는 것이므로 축문이 없는 제사는 지내나 마나 이다. 요즘 세상에 축을 읽는다고 혼령이 알아 듣는냐고 한다면 불교나 기독교등 종교행사도 할 필요가 없다. 축이란 조상 영과의 정신 감응이다. 그러니까 축을 읽으며 제사를 지내면 읽는 사람은 물론 여러 제관들의 마음속에서 조상의 영과 감응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들의 축은 어떻게 쓰고 읽을줄 모르니까 중국의 주자가 ??어놓은 주자가례(朱子家禮)대로 써 왔다. 물론 세종전 한글이 없었을때는 할수없이 그랬다 하더라도 세종이 한글을 만든 후에도 한자나 숭상하여 한자로 쓴 축만을 읽어 왔는데 ... 요즘 젊은이들은 이 한자를 모르니 아예 축을 읽지 않고 제사를 내낸다. 이에 우리말 한글 축문을 주자 가례에 가장 가깝게 번역하여 여기에 올리니 올 설날 부터는 많이 활용하여 이런것 부터 우리 근본을 찾자. ***명절 조상 차례 축문 ** 때는 어느덧 2006년 병술년 정월초하루(8월명절) 설날이 되었습니다. 이에 효자(손) 길동이는 감히 조상의 영전에 아뢰나이다. 높으신 증조할아버님 높으신 증조할머님 높으신 할아버님 높으신 할머님 훌륭하신 아버님 훌륭하신 어머님 해가 바뀌고 새해가 (8월명절)되니 높으신 조상님들을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祖 父母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孫 洪吉童 敢昭告于 顯祖考 學生府君 顯비孺人 江陵金氏 歲序遷易 顯祖考 學生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조부모 기제사 축문 한글식 2006.병술년 모월 모일 효손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높으신 할머님 서울대학교 교수 김해 김씨 ... 해가 바뀌어서 할머니의(할아버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父母기제사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子 洪吉童 敢昭告于 顯考 學生府君 顯비孺人 江陵金氏 歲序遷易 顯考 學生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부모 기제사 축문 한글식 2007.정해년 3월 5일 고(애)자 정동근는 감히 고하나이다. 훌륭하신옛 수양어머님 수원 백씨 해가 바뀌어서 아버님(어머님)의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과 하늘 같이 크고 넓은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男便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主婦 洪吉順 敢昭告于 顯壁 金海 金公 吉童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남편축문 2006.병술년 모월 모일 미망인 홍길숙은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서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妻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男便 洪吉童 敢昭告于 亡室 金海 金氏 歲序遷易 亡日復至 追遠感時 不自勝感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처 축문 한글식 2006.병술년 모월 모일 남편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서 부인청송 심씨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兄 祝文 維歲次 丙戌年 六月 乙未 丙子朔 23日 甲子 孝弟 洪吉童 敢昭告于 顯兄 學生府君 歲序遷易 諱日復臨 情何悲痛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형 축문 2006.병술년 모월 모일 제 홍길동은 감히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서 형님의 제사날을 다시 맞으니 형제의 정으로 비통한 마음을 금치 못합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두루 흠향 하시옵소서..... (동생의 경우의 축도 위와 같다) ♣추석에 조상 제사축문 "때는 바야흐로 ○년○월○일 효손○○는 감히 돌아가신 조상님께 밝게 사뢰나이다. 이제 한가을이 되어 만물이 익어가기 시작합니다. 오곡백과가 풍요로우니 추모하는 마음 저하늘도 다함이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드리오니 두루 흠향하옵소서."
|
'글 마당 > 차 한잔의 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메르문명을 배낀게 사실로 드러나자 성서학자들 충격. (0) | 2014.12.03 |
---|---|
[제사] 설날 제사상차림 (진설법) 기준 (0) | 2014.11.10 |
문학을 죽이는 두 개의 제도 / 황정산 (시인, 문학평론가) (0) | 2014.09.29 |
은퇴한 부모님이 가장 후회하는 10가지 (0) | 2014.09.16 |
어제의 야당 / 한홍구(성공회대학교) (0) | 2014.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