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마당/살림문화 도담방

차례 지내는 순서

▪살림문화재단▪ 2016. 2. 10. 19:52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茶禮)는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지내는 제사이다. 지역이나 각 가정에 따라 대보름날, 한식, 단오 등에 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차례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를 보답하고자 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예전에는 차례를 명절을 비롯하여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지냈지만 지금은 대개 설과 추석 명절에만 지낸다. 차례를 지내는 시간은 주로 새벽이나 아침 일찍 지내며 지금은 늦게 지내는 경우도 있다. 장자 또는 장손이 제주가 되어 지내고 차례 음식은 기제사 음식과 비슷하다.



차례는 어떤 절차로 지내나요?

차례는 강신(降神), 참신(參神), 헌작(獻酌), 계반삽시(啓飯揷匙), 합문(闔門), 철시복반(撤匙復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 등의 절차로 진행된다. 제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차례는 축문각주[1] 을 읽지 않고 잔을 한 번만 올리는 것이다

강신(降神)
차례 지내는 순서


강신(降神)은 조상님을 맞이하는 절차로 차례를 지내는 장소에 조상님의 신을 모시는 의미이다. 제주각주[2] 가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각주[3] 가 술을 따라주면 모삿그릇각주[4] 에 3번 나누어 붓는다. 그리고 2번 절한다.

참신(參神)
차례 지내는 순서


참신(參神)은 신위(神位)각주[5] 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이다. 제주를 비롯하여 차례에 참석한 모든 가족이 두 번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기도 한다.

헌작(獻酌)
차례 지내는 순서


헌작(獻酌)은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이때 각 신위마다 잔을 올려야 하며 제주가 직접 바로 술을 따르거나 강신(降神)과 같이 집사자가 따라주기도 한다.

계반삽시(啓飯揷匙)
차례 지내는 순서


계반삽시(啓飯揷匙)는 삽시정저(揷匙正箸)라고도 하며, 메(밥)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구이)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이다. 설날 때에는 떡국에 숟가락을 올려놓고, 추석 때에는 송편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합문(闔門)
차례 지내는 순서


합문(闔門)은 조상님께서 음식을 드시도록 시간을 드리는 절차이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밖으로 나가 문을 닫으며, 어쩔 수 없는 경우 모두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철시복반(撤匙復飯)
차례 지내는 순서


철시복반(撤匙復飯)은 수저를 거두고 음식의 뚜껑을 덮는 절차이다. 추석 때에는 송편에 올려 놓은 젓가락을 내린다.

사신(辭神)
차례 지내는 순서


사신(辭神)은 모셨던 조상님을 배웅하는 절차이다.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은 모두 두 번 절한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하기도 한다. 절을 한 후, 차례에 사용했던 지방각주[6] 과 축문을 불사른다.

철상(撤床)
차례 지내는 순서


철상(撤床)은 차례 음식을 비롯해 차례에 사용했던 도구를 뒤에서부터 거두어 정리하는 절차이다.

음복(飮福)
차례 지내는 순서


음복(飮福)은 차례를 마치고 조상님께서 남기신 음식을 나누어 먹는 절차이다. 제주와 차례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주(飮福酒)각주[7] 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자료출처]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d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