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장부(臟腑)와 인체(人體) 내외(內外)의 상호관계(相互關係) 장부(臟腑)에 귀납(歸納)되는 구분(區分)이 각 장부(臟腑)의 작용범위와 동일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생리활동면(生理活動面)에 있어서나 또는 병리변화면(炳理變化面)에 있어서나 상호간(相互間)에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런 종류(種類)의 관계는 장(臟)과 장(臟), 장(臟)과 부(腑), 부(腑)와 부(腑)사이에 상호(相互)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장부(臟腑)와 지체(肢體) 그리고 칠규(七竅), 오지(五志), 오색(五色), 오미(五味)등 각 분야로 나타나며, 또한 자연계(自然界)의 사계변화(四界變化)로 기후전변(氣後轉變)과도 관계가 있다. 소우주(小宇宙)인 인체는 대우주(大宇宙)와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주고 받는데 오장육부는 이러한 체내외(體內外)의 상호작용(相互作用)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그 기능을 수행한다. ◈ 오장육부와 체내외(體內外)의 관계(關係)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오 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구 분 군 (君) 상 (相) 1. 육장(六腸)-음(陰) 간(肝) 심(心) 심포(心包) 비(脾) 폐(肺) 신(腎) 2. 육부(六附)-양(陽) 담(膽) 소장(小腸) 삼초(三焦)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근(筋) 혈(血) 육(肉) 피(皮) 골(骨) 목(目) 설(舌) 구(口) 비(鼻) 이(耳) 노(怒) 희(喜) 사(思) 우(憂) 공(恐)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 조(爪) 색(色) 순(脣) 모(毛) 발(髮)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호(呼) 소(笑) 가(歌) 곡(哭) 신(呻) 각(角) 치 궁(宮) 상(商) 우(羽) 풍(風) 열(熱) 습(濕) 조(燥) 한(寒) 춘(春) 하(夏) 장하(長夏) 추(秋) 동(冬) 근(筋) 오장(五臟) 설본(舌本) 견(肩) 계(谿) 계 양(羊) 우(牛) 마(馬) 돈(豚) 맥(麥) 서(黍) 직(稷) 도(稻) 두(豆) 3,8 2,7 5,0 4,9 1,6 조 초(焦) 향(香) 성(腥) 부(腐) 읍(泣) 한(汗) 연(涎) 체(涕) 타(唾) 악(握) 우(憂) 홰 해 율(慄) 갑을(甲乙) 병정(丙丁) 무기(戊己) 경신(庚辛) 임계(壬癸) 인목(寅木) 사화(巳火) 축토(丑土) 신금(申金) 자수(子水) 동(東) 남(南) 중앙(中央) 서(西) 북(北)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智) 1. 장(臟)과 장(臟)사이의 상호관계 ( 心包를 포함하여 6장이라고 한다.) 장(臟)과 장(臟)사이는 상호간(相互間)에 생성(生成)과 제약(制約)의 관계(關係)가 있다. 「소문(素問)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는‥‥‥ 또「소문(素問)의 오장생성론(五臟生成論)」에는‥‥‥ 주(主)에는 주제(主帝), 제약(制約)이라는 의미(意味)가 있으니 이것은 장(臟)과 장(臟) 사이에 상호제약관계(相互制約關係)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2. 부(腑)와 부(腑)사이의 상호관계(相互關係) ( 三焦를 포함하여 6부라고 한다.) 부(腑)와 부(腑)사이의 상호간(相互間)에는 이동(移動), 소화(消化)의 관계(關係), 즉 운화관계(運化關係)가 있다. 「소문(素問)의 육절장상론(六節藏象論)」에는‥‥‥ 또 「영추(靈樞)의 평인절곡편(平人絶穀篇)」에는‥‥‥ 육부(六腑)는 음식물(飮食物)을 받아들이는 곳이기 때문에 음식물의 정기(精氣)는 모두 이렇게 하여서 운송(運送)되며, 조박(糟粕) 역시 이와 같이 변화(變化)를 받아 배설(排泄)하게 된다. 고로 육부(六腑)와 오장(五臟)이 다른 것은 때로는 납(納), 즉 받아들이고. 때로는 출(出), 즉 나오며, 때로는 실(實)하고, 때로는 허(虛)하게 되는 점에 있다. ◈ 장(藏)과 부(腑)사이의 상호관계 ◈ 장(藏)과 부(腑)사이의 상호간에는 표리의 관계가 있다. 「소문(素問)의 혈기형지편(血氣形志篇)」에는‥‥‥ 수(手)의 태양, 소장(太陽, 小腸)과 소음, 심(少陰, 心)은 표리가 되고, 우리 선조(先祖)들은 내부(內部)의 소화순환(消化循環)에서, 외부(外部)의 시청언행(視聽言行)까지 모두가 장부기능의 활동체현(活動體現)이 아닌 것은 하나도 없다고 믿어 왔다. 「소문(素問)의 오장생성론(五臟生成論)」에서는‥‥‥ 심(心)과 결합(結合)해 있는 것은 혈맥(血脈)이다. 그가 어느만큼 왕성(旺盛)한가는 면(面), 즉 얼굴의 피부색(皮膚色)으로 알 수 있다. 간(肝) = 근(筋) : 간허(肝虛) - 근이완(筋弛緩), 경련(痙攣). 「소문(素問)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는‥‥‥ 간(肝) = 목(目) : 간실(肝實) - 누(淚) 또는 건조(乾燥), 시력감퇴(視力減退), 충혈(充血), 다래끼. 심(心) = 설(舌) : 심허(心虛) - 언어장해(言語障害), 구내염(口內炎), 설염(舌炎), 설병(說病). 비(脾) = 구(口) : 비허(脾虛) - 입술이 얇다. 청(靑), 흑색(黑色), 입술이 마르고 부르튼다. 떨린다. 폐(肺) = 비(鼻) : 폐허(肺虛) - 코가 막힌다. 냄새를 못 맡는다. 신(腎) = 이(耳) : 신허(腎虛) - 소리를 잘 못 듣는다, 난청(難聽). 사람이 외계(外界)로부터 자극(刺戟)을 받거나 충격(衝激)을 받으면 감정(感情)의 변화(變化)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은 오장(五臟)의 기능(機能)과 직접적(直接的)이고 또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다. 오지(五志)란 오정(五情)의 감정변동(感精變動), 즉 정서(情緖)의 변화(變化)를 일컫는데 오지(五志)는 다음과 같다. 「소문(素問)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는 "사람은 오장(五臟)을 가졌으며, 오장(五臟)은 오기(五氣)를 재생(再生)하여 희(喜), 노(怒), 사(思), 우(憂), 공(恐)의 감정변동(感精變動)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고로 병리면(病理面)에 있어서 왕왕 심한 감정(感情)의 변동(變動)은 흔히 오장(五臟)에 상해(傷害)를 미치게 함으로써 병이 발생하게 된다. 오장(五臟)과 오지(五志)와의 관계(關係)는 다음과 같다. 노(怒)는 간(肝)을 상(傷)하게 한다. 간(肝) = 노(怒) : 간(肝)은 혼(魂)을 간직한다. 심(心) = 희(喜) : 심(心)은 신(神)을 간직한다. 비(脾) = 사(思) : 비는 생각(思)을 간직한다. 폐(肺) = 비(悲) : 폐는 백(魄)을 간직한다. 신(腎) = 공(恐) : 신(腎)은 뜻(意)을 간직한다. 6. 오미(五味) : 오장에 들어가는 다섯 가지 맛을 말한다. 오미(五味)란 다음 다섯가지의 맛을 가르킨다. 산(酸) : 신맛, 고(苦) : 쓴맛, 감(甘) : 단맛, 신(辛) : 매운맛, 함(鹹) : 짠맛의 오종(五種)이다. 오장(五臟)은 오미(五味)에 대하여 각각 다른 수요(需要)가 있으며, 오미(五味)도 오장(五臟)에 대하여 각기 상이(相異)하게 적응(適應)한다. 「영추(靈樞)의 오미(五味)」에는‥‥‥"오미(五味)는 각각 그가 좋아하는 기관(器官)으로 간다." 이것은 오미(五味)는 그 종류(種類)에 따라 각각 적응(適應)하는 장부(臟腑)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고로 일상의 음식은 반드시 오미(五味)를 조화(調和)시켜 오장(五臟)의 수요(需要)에 적응(適應)시키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소문(素問)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에 보면‥‥‥ 간(肝) = 산(酸) : 신 맛은 간에 들어가고, 신맛은 근(筋)으로 달아나니 근병(筋病)에는 많이 먹지말것. 심(心) = 고(苦) : 쓴맛은 심(心)에 들어가고, 쓴맛은 골(骨)로 달아나니 골병(骨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비(脾) = 감(甘) : 단맛은 비(脾)에 들어가고, 단맛은 살(肉)로 달아나니 육병(肉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폐(肺) = 신(辛) : 매운 것은 폐(肺)에 들어가고, 매운 것은 기(氣)로 달아나니 기병(氣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신(腎) = 함(鹹) : 짠맛은 신(腎)에 들어가고, 짠맛은 피(血)로 달아나니 혈병(血病)에는 많이 먹지 말것. 조(爪) : 손톱 · 발톱, 색(色) : 빛깔, 순(脣) : 입술, 모(毛) : 솜털, 발(髮) : 머리털. 간(肝) = 조(爪) : 간실(肝實) - 손톱에 잔줄이 생기고 굳어지며 거칠다. 청색, 적색, 암적색 등이 있다. 심(心) = 색(色) : 심실(心實) - 혈색이 좋고 충혈 색이다. 비(脾) = 순(脣) : 비실(脾實) - 입술 포진, 습진, 붉힘 등이 나타난다. 폐(肺) = 모(毛) : 폐실(肺實) - 솜털, 피부 털이 좋다. 신(腎) = 발(髮) : 신실(腎實) - 신이 충실하면 머리털이 윤기가 있고, 빠지지 않는다. 오색은 다음 다섯가지 색을 말한다. 그 변화(變化)는 다음과 같다. 이상은 일반적인 병리현상(病理現象)인 것이다. 그러나‥‥‥ 간(肝) = 청(靑) : 간실(肝實) = 청색(靑色) 호(呼) : 부르짖는 소리, 소(笑) : 웃는 소리, 가(歌) : 노래하는 소리, 곡(哭) : 슬피 우는소리, 신(呻) : 신음하는 소리. 목(木) = 각(角) : 나무 두들기는 소리, 목(木) = 풍(風) : 바람, 기후 혈행불순과 열성병. - 모든 풍병(風病)은 간이 주관한다(어지러운 병). - 간(肝)은 풍(風)을 싫어하고 인체(人體)는 내장(內臟) 상호간(相互間)에서만 아니고, 내장(內臟)과 지(肢), 체(體), 오관칠규(五官七竅)의 사이에도 협조통일(協調統一)되어 있다. 동시에 내장은 대개 외계환경(外界環境)의 변화에도 적응한다. 사계(四季)의 이상기후(異常氣候)는 오장(五臟)을 상(傷)하게 한다. 이것은 내장(內臟)과 사계(四季)의 기후전변(氣後轉變)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소문(素問)의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는‥‥‥ 13. 병증(病症) : 오장이 주로 병을 일으키는 부위 목(木) = 근(筋) : 힘줄의 병, 계(鷄) : 닭, 양(羊) : 양, 우(牛) : 소, 마(馬) : 말, 돈(豚) : 돼지. 맥(麥) : 보리, 서(黍) : 기장(수수), 직(稷) : 피· 메기장, 도(稻) : 벼, 두(豆) : 콩. 간(肝) : 3 · 8 - 목(木), 심(心) : 2 · 7 -화(火), 비(脾) : 5 · 10 - 토(土), 폐(肺) : 4 · 9 -금(金), 신(腎) : 1 · 6 - 수(水). 간(肝) = 조( 간(肝) = 읍(泣) : 눈물 - 간실(肝實), 19. 변동(變動) : 오장의 부조(不調)로 나타나는 증상. 간(肝) = 악(握)(웅크리는 것) - 간병(肝病)은 근수축(筋收縮)이 된다. 갑(甲)=담(膽), 을(乙)=간(肝), 병(丙)=소장(小腸), 정(丁)=심장(心臟), 무(戊)=위(胃), 기(己)=비(脾), 경(庚)=대장(大腸), 신(辛)=폐(肺), 임(壬)=방광(膀胱), 계(癸)=신(腎). 목(木) : 인묘(寅卯), 화(火) : 사오(巳午), 토(土) : 축진미술(丑辰未戌), 금(金) : 신유(申酉), 수(水) : 해자(亥子). 간(肝) = 인(仁) : 어질은 것, 잘 알아주는 것. 상기(上記) 이외에도 영(營), 위(衛), 기(氣), 혈(血), 정(精), 신(神), 진액(津液), 경락(經絡)이 있는데, 이들 역시 사람의 생명활동(生明活動)에 대하여 중요한 작용을 갖는 기능(機能)과 물질(物質)들이다. 이들 중 영(營), 위(衛), 기(氣), 혈(血), 정(精), 진액(津液)은 모두 수곡(收穀)의 정수(精粹)가 변화하여 만들어진 영양물질이며, 그들의 생성물(生成物)과 운행(運行), 분포(分布)는 장부(臟腑), 경락(經絡)의 활동기능(活動機能)에 의하여서 행(行)하여진다. 신(神)이란 생명활동(生明活動)의 체현(體現)이다. 경락(經絡)은 내부(內部)에서는 오장육부(五臟六腑)에 속(屬)하고, 외부(外部)에서는 사지백해(四肢百骸), 피모기육(皮毛肌肉)에 연결되어 기혈(氣血)이 운행(運行)하는 통로(通路)가 되고 있다. 인체 전체가 기체(機體)가 협조(協調)하고 통일(統一)되는 것은 경락(經絡)의 작용(作用)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은 모두 장상론(藏象論)의 범위에 속하고 있는 것들이라 경락은 그 자체가 이론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경락학설에서 논하여야 된다. 이와 동시에 관계가 있는 병리현상(病理現象)에 대하여서도 논한다. 왜냐하면 이들 병리현상(病理現象)은 생리기능(生理機能)을 반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13. 장부(臟腑)의 정의(定義)와 기능(機能) 장부(臟腑)의 정의(定義) 장(臟)과 부(腑)는 어느 편이나 다 인체(人體)의 내장(內臟)이지만 거기에는 일정한 구별이 있다. 「소문(素問)의 오장별론(五臟別論)」에서는 ‥‥‥ 다시 구체적(具體的)으로 말하면 모든 음식물(飮食物)을 출입이동(出入移動)시키고, 소화(消化)시키는 기능(機能)이 있는 기관(器官)은 부(腑)의 부류(部類)에 속(屬)하고, 정기(精氣)를 저장(貯藏)하는 기능(機能)을 갖춘 기관(器官)은 장(臟)의 부류(部類)에 귀속(歸屬)된다. 장부(臟腑)의 기능(機能) 한의학(韓醫學)에서 말하는 오장육부는 서양의학(西陽醫學)에서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인체장기(人體臟機)를 구분 짓는 것과 흡사하지만 그대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例)를 들어 한의학(韓醫學)에서 폐(肺)라고 하면 단순히 가슴 양쪽에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위치하는 폐(肺)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호흡(呼吸)을 담당하는 호흡기관 전체와 그 기능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다. 사람은 음(陰)(-)과 양(陽)(+)의 두 가지 기운과 영양소를 받으며 생명활동을 유지한다. 양(陽)의 기운과 영양소는 천(天)의 기(氣)라고 하며 폐(肺)의 호흡(呼吸)을 통해 흡수(吸收)되고, 음(陰)의 기운과 영양소는 지(地)의 기(氣)라고 하며 음식물을 통해 흡수된다. 지(地)의기(-)인 음식물은 위(胃)로 보내진다. 위(胃)와 소장(小腸)은 음식물을 소화(消化)하여 영양소의 엑기스인 정미(精米)한 물질인 정(精)을 추출해낸다. 가스와 변(便)은 대장(大腸)으로, 수분(水分)은 방광(膀胱)으로 보내지고, 정(精)은 비(脾)에 보내며, 그 통제(統制)를 받으며 전신(全身)에 보급된다. 정(精)의 일부가 영(榮)이 되어 맥 속에 들어가 혈(血)이 되는데 간(肝)이 혈(血)을 저장하고 심(心)은 혈(血)을 인체(人體) 각처에 순환(循環)시켜 영양소를 공급한다. 천(天)의 기(氣)는 폐(肺)의 호흡(呼吸)을 통해 체내에 들어와 신(腎)에 저장된 정(精)과 단전(丹田)에서 합체하여(天氣 + 地氣 : 음양(陰陽) 합일(合一)) 생명활동(生明活動)의 원천(源泉)인 진기(眞氣)가 된다. 단전(丹田)에서 생성 축적된 진기(眞氣)는 경락(經絡)을 따라 오장육부와 전신(全身)에 흘러 생명활동(生明活動)의 근원(根源)이 된다.
12. 장기(臟器)의 개념(槪念)과 음양오행 장기(臟器)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장기 오장(五臟) 육부(六腑) 기항(奇恒)의 부(府) 그리고 또 영(營), 위(衛), 기(氣), 혈(血), 수(髓), 신(神), 진액(津液)은 장기(臟器)는 아니지만 생리적(生理的)인 범위(範圍)안에서 중요한 부분인 만큼 장상(藏象)에서 같이 설명되어야 한다. 가) 오장은 다음과 같다.
오장(五臟) 간(肝) ‥‥‥속칭 : 간 심(心) ‥‥‥속칭 : 염통 비(脾) ‥‥‥속칭 : 지라 폐(肺) ‥‥‥속칭 : 허파 신(腎) ‥‥‥속칭 : 콩팥 오장(五臟)에는 상기(上記) 다섯가지 외에 심포락(心包絡)이 있다. 이것은 심(心)의 외위(外圍)이지만 심(心)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기 때문에 오장(五臟)과 함께 논(論)하게된다. 나) 육부(六腑)는 다음과 같다. 육부(六腑) 담(膽) ‥‥‥속칭 : 쓸개 소장(小腸)‥‥‥속칭 : 작은창자 위(胃) ‥‥‥속칭 : 밥통 대장(大腸)‥‥‥속칭 : 큰창자 방광(膀胱) ‥‥‥속칭 : 오줌통 삼초(三焦)‥‥‥속칭 : 상초. 중초, 하초를 말함 다) 기항(奇恒)의 부(府)는 다음과 같다. 기항(奇恒)의 부(府) 뇌(腦)‥‥‥속칭 : 머리골 수(髓)‥‥‥속칭 : 등골 골(骨)‥‥‥속칭 : 뼈 맥(脈)‥‥‥속칭 : 핏줄 인체(人體) 오장육부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나 유기적(有機的)인 기능은 음양(陰陽)의 이치와 오행간의 상생(相生) 상극(相剋) 관계에 따른다. 예를 들어 폐(肺)와 대장(大腸)은 오행(五行)으로는 같은 금(金)이면서 음양(陰陽)이 다른 표리(表裏)의 관계를 갖고 있다. 다른 장부의 관계 역시 이와 같다. 대우주가 음양오행으로 운행하듯이 소우주인 인체 역시 오장육부로 구성되어 있다. 오장(五臟)은 음(陰)(-)이고 , 육부(六腑)는 양(陽)(+)이다.
11. 5장6부와 인체경락 경락(經絡)은 기혈(氣血)의 유통(流通)로로서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얽고 전신(全身)에 뻗어 있어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능을 주관하고 상호(相互) 유기적(有機的)인 작용(作用)을 하도록 한다. 만일 기혈(氣穴)의 유통(流通)로인 경락(經絡)이 없다면 오장육부(五臟六腑)가 유기적(有機的)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不可能)하게 될 것이다. (혈관(血管)을 통(通)한 혈(血)의 순환(循環) 역시 경락(經絡)을 통한 기(氣)의 운행(運行)에 따른다.) 인체(人體)의 오장육부(五臟六腑)를 각각 주관하는 12경락이 있고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인체(人體)를 순행(循行)하여 생명력(生命力)을 유지하는 것이다. 경락(經絡)은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얽고 있기도 하고 신경계(神經系)와 호르몬 분비 조절대사 기능과도 밀접(密接)한 관계를 맺는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인체(人體) 척추(脊椎)를 따라 있는 척수신경(脊髓神經)은 각각 오관과 오장육부(五臟六腑) 기능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데, 이러한 척수신경(脊髓神經)을 주관하고 있는 것이 인체(人體)의 등줄기를 따라 흐르는 경락이다. 목(木) 족궐음 간경 족소양 담경 군화(君火) 수소음 심경 수태양 소장경 상화(相火) 수궐음 심포경 수소양 삼초경 토(土) 족태음 비경 족양명 위경 금(金) 수태음 폐경 수양명 대장경 수(水) 족소음 신경 족태양 방광경 |
'도담방 > 유 도가의 도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인(奇人) 소강절(邵康節) (1편) (0) | 2012.10.04 |
---|---|
서토(西土)의 꿈 [artngo에서 퍼옴] (0) | 2011.08.15 |
동의수세보원 (0) | 2010.08.09 |
周易八卦는 반드시 외워두어야 합니다. (0) | 2010.08.09 |
오운육기五運六氣의 변화 (0) | 2010.08.09 |